성균관대 배용수 교수 연구팀, 폐 특이적 병원성 호중구 발견

기사입력:2025-07-17 23:00:24
[로이슈 전여송 기자] 성균관대학교(총장 유지범)가 본교 생명과학과 배용수 교수 연구팀이 폐기종 질환의 핵심 병리세포로 작용하는 새로운 아군의 병원성 호중구(Siglec-F⁺ 호중구)의 분화 기전을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본 연구는 폐기종 치료를 위한 면역세포 기반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성균관대에 따르면 호중구는 인체 면역계에서 가장 풍부한 백혈구로, 감염 방어와 조직 손상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폐기종과 같은 만성 폐질환에서는 병원성 호중구가 폐포를 파괴하며 증상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Siglec-F⁺ 호중구는 일반 호중구보다 단백질분해효소와 활성산소종을 더 많이 분비해 폐 조직 손상과 염증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연구팀은 마우스 폐기종 모델을 통해 폐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Siglec-F⁺ 호중구를 최초로 규명하고, 이들이 γδ⁺ T 세포에서 유래한 인터류킨-17A(IL-17A)에 의해 유도되는 폐 상피 및 간질세포의 G-CSF 분비로 분화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흥미롭게도, IL-17A는 Siglec-F⁺ 호중구의 직접적 분화에는 관여하지 않고, 폐조직 내 비면역세포의 G-CSF 생산을 자극하는 경로를 통해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용수 교수는 “폐는 비임파성 장기로 독자적인 면역 환경을 갖고 있으며, 본 연구는 폐 특이적인 병원성 면역세포의 생성과 분화 기전을 규명한 첫 사례”라며, “향후 사람에서도 유사한 병원성 호중구가 확인된다면, 이를 타겟으로 하는 폐기종 맞춤형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8.07 ▼4.22
코스닥 820.67 ▲2.40
코스피200 431.10 ▼0.54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440,000 ▼76,000
비트코인캐시 702,500 ▼1,000
이더리움 4,913,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33,970 ▲1,340
리플 4,682 ▼12
퀀텀 3,402 ▲1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424,000 ▼113,000
이더리움 4,908,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33,820 ▲1,160
메탈 1,137 ▲14
리스크 647 ▲10
리플 4,683 ▼5
에이다 1,130 ▼3
스팀 209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450,000 ▼150,000
비트코인캐시 702,500 ▼500
이더리움 4,913,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33,800 ▲1,200
리플 4,685 ▼7
퀀텀 3,409 ▲22
이오타 318 ▼1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