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길의 수호자 VTS', 해양경찰로 이관 10년째의 변화

기사입력:2024-05-25 16:19:11
(사진제공=남해해경청)

(사진제공=남해해경청)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용모 기자] 남해지방해양경찰청(청장 채광철)은 2014년 11월 정부조직법이 개편되며 해양수산부와 해양경찰청으로 이원화돼 있던 해상교통관제(VTS) 업무가 해양경찰 하나의 조직으로 통합된 지 10년째를 맞았다고 밝혔다.

2014년 이후 해양경찰청에 ‘해상교통관제과’, 남해해경청에는 ‘해상교통관제계’가 신설되어 정책기능과 항만과 연안을 아우르는 선박통항 관리로 VTS 현장의 집행 기능이 강화됐다.

또 지난 10년간 남해청 관제사 인력은 113명에서 현재 139명으로 약 23% 늘어났고, 남해권 관제구역은 2,782km²에서 5,154km²로 약 2배 확대됐다.

2014년 이전 VTS센터에서는 선박 동향 등 해상의 움직임을 관제사의 ‘눈’으로만 확인했으나, 해경청 일원화 이후에는 경비함정‧파출소‧구조대와 함께 하며 ‘눈’과 ‘손·발’이 하나 된 입체적 관리 시스템으로 바뀌게 됐다.

특히 VTS센터와 경비함정 등 현장세력들은 신속히 협업해 오며 음주운항자 적발, 해양오염 방제, 조난선박 구조와 같은 굵직한 성과를 내왔고, 인명구조 골든타임 확보 측면에서는 최상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었다.

남해해경청은 2028년까지 레이더 2대(경남 거제, 부산 기장)를 추가로 설치해 관제구역을 6,039km²까지 늘려 항만에서 연안을 항행하는 선박들의 해양사고 예방에 주력 할 방침이다.

채광철 남해지방해양경찰청은 “VTS는 선박과 직접 교신, 소통하며 해양사고 예방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며 “나날이 확대되는 역할만큼 앞으로도 바닷길의 안전을 위해 발전해가는 VTS를 기대해 달라” 고 했다.

◇VTS(Vessel Traffic Service, 해상교통관제) : 선박교통의 안전을 증진하고, 해양환경과 해양시설을 보호하기 위해 선박의 위치를 탐지하고 동정을 관찰하며 안전에 관한 정보와 항만운영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6.61 ▼8.81
코스닥 717.24 ▼9.22
코스피200 338.74 ▼0.3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9,458,000 ▼140,000
비트코인캐시 524,500 ▲500
이더리움 2,671,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4,410 ▲80
리플 3,216 ▼1
이오스 988 0
퀀텀 3,195 ▲4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9,525,000 ▼54,000
이더리움 2,672,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4,420 ▲70
메탈 1,221 ▲6
리스크 794 ▲6
리플 3,217 0
에이다 1,016 ▲1
스팀 21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9,480,000 ▼20,000
비트코인캐시 523,500 ▼500
이더리움 2,668,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4,360 ▼30
리플 3,215 ▼3
퀀텀 3,155 0
이오타 304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