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유역환경청, 태양광추적분광차량으로 울산 국가산단 대기오염물질 모니터링

기사입력:2023-12-21 10:36:35
첨단장비(태양광추적분광차량)으로 울산 국가산단 대기오염물질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제공=낙동강유역환경청)

첨단장비(태양광추적분광차량)으로 울산 국가산단 대기오염물질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제공=낙동강유역환경청)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용모 기자] 낙동강유역환경청(청장 최종원)은 첨단장비(태양광추적분광차량, SOF,Solar Occultation Flux))를 이용, 주기적(4회/월)으로 울산지역 국가산업단지의 대기오염물질 모니터링을 실시했다고 21일 밝혔다.

해당 차량은 분광학적 측정기법을 기반으로 태양광을 이용해 원격에서 적외선(IR) 및 자외선(UV)을 쬐어 특정 파장에서 흡수되는 물질의 흡광량을 측정, 굴뚝 및 배출 시설 등에서 누출되는 화학물질을 태양광추적분광차량이 이동하면서 실시간으로 배출되는 가스 성분을 측정한다.

울산지역은 석유산업 및 화학물질 제조업체 등이 위치하고 있어 미세먼지 전구물질인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이 다량(전국 4위, 82만톤/년, 국가미세먼지 정보센터, 2020년) 배출되어 효율적 관리가 필요하다.

낙동강청은 2023년 국내 첫 태양광추적분광차량을 울산지역 산업현장에 도입, 온산·미포국가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올해 2월부터 9월까지 사업장 부지 경계를 이동하면서 모니터링을 실시해 대기오염물질의 종류와 배출 의심 사업장을 선별했다.

오염물질 배출량이 큰 온산국가산업단지 3개 사업장, 미포국가산업단지 2개 사업장에 대해서는 사업장 주변 및 내부를 집중적으로 모니터링 했다.

그 결과에 따르면 화학물질 제조업체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체 등에서는 NO2, SO2, BTEX(Benzen, Toluene, Ethylbenzene, Xylene: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 알칸류화합물(메탄, 에탄, 프로판) 등이 원료탱크나 생산공정 등에서 배출됐고, 금속 제조업체에서는 NO2, SO2 등이 주로 배출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물질들은 미세먼지 전구물질로 광화학반응에 의해 고농도 미세먼지를 발생시키는 원인물질이며 첨단장비를 활용한 과학적 감시체계를 구축해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

이번 모니터링 결과는 환경청 및 울산광역시 미세먼지 전담 부서, 환경공단 등에 통보하여 미세먼지 계절관리제기간(`23.12월 ~ `24.3월) 동안 오염물질 배출 단속 및 감시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첨단장비를 활용한 대기오염물질 측정은 점(点)단위의 배출구 측정이 아니라 대기 중으로 배출된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측정하는 면(面)단위의 감시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산업단지별 오염물질의 특성 파악 및 계절별 바람 방향에 따른 오염물질의 움직임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최종원 낙동강유역환경청장은 “이동식 첨단 측정장비를 활용, 울산국가산업단지내 대기오염의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미세먼지를 저감하고, 인근 주민이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감시·감독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44.20 ▲29.67
코스닥 834.76 ▲1.76
코스피200 454.00 ▲3.9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748,000 ▲232,000
비트코인캐시 835,000 ▲5,500
이더리움 6,155,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9,640 ▼20
리플 4,198 ▼9
퀀텀 3,60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719,000 ▲54,000
이더리움 6,153,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9,670 ▼30
메탈 1,004 ▼1
리스크 528 0
리플 4,198 ▼13
에이다 1,232 0
스팀 18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670,000 ▲110,000
비트코인캐시 836,000 ▲4,500
이더리움 6,155,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9,650 ▼20
리플 4,199 ▼11
퀀텀 3,604 ▼1
이오타 277 ▲6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