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아프리카TV가 지속적으로 게임 및 e스포츠 콘텐츠 생산에 나선다.
아프리카TV의 새로운 ‘A’ 시리즈 글로벌 발로란트 대회인 ‘AVL(AFREECATV VALORANT LEAGUE)이 성황리에 종료됐다.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VCT)에 참여하는 인기팀들이 대거 참여한 이번 대회는 결승전 티켓이 조기 매진되고 최고 동접자 12만 명, 총 누적 시청자 수 563만 명(중국 제외)을 기록하는 등 국내 및 해외 발로란트 유저들의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 또한 대회를 시청하는 국내외 팬들은 아프리카TV의 수준 높은 제작역량에 놀라움을 표하기도 했다.
AfreecaTV의 ‘A’와 인기 게임의 앞 글자를 합쳐 만든 아프리카TV의 오리지널 콘텐츠 ‘A’시리즈는 리그오브레전드, 스타크래프트, 배틀그라운드 등 다양한 게임으로 진행되며 e스포츠 팬들을 즐겁게 하고 있다.
이제는 국민게임이라 불리는 스타크래프로 진행되는 ASL(AfreecaTV StarCraft League)은 2016년부터 시작돼 올해까지 16개의 시즌이 진행됐다. 올해 진행된 두 번의 ASL은 최고 동시 시청자 14만 명, 누적 시청자 1천7백만 명을 기록하는 등 16개의 시즌이 펼쳐졌음에도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다. ASL의 16개 시즌 동안 누적 시청자는 2억 명에 달한다. 리그오브레전드 아마추어 최강자를 가리는 ALL(AfreecaTV League of Legends League)은 아프리카TV 인기 게임 BJ뿐만 아니라 전 프로게이머 엠비션, 칸, 스맵, 오뀨, 린다랑, 트할 등이 다수 참여하고 있다. 시청자들 사이에서 LCK 3군이 아니냐는 말이 나올 정도로 수준 높은 경기력을 선보인 ALL 시즌5, 6는 최고 동시 시청자 8만 명, 누적 시청자 4백8십만 명이 대회를 즐겼고, 6개 시즌 누적 시청자는 2천만 명을 기록했다.
아프리카TV의 ‘A’시리즈는 단순 대회로 끝나지 않고 다양한 콘텐츠와 결합하면서 e스포츠 생태계를 확장하기도 했다.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출신 BJ들이 ‘대학’이라는 콘셉트로 팀을 만들어 진행했던 ‘스타 대학대전’은 배우는 과정 자체가 콘텐츠로 다양한 BJ들이 비교적 적은 부담을 가지고 참여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었다. 스타크래프트에 익숙하지 않은 유저들도 쉽게 접근하고 즐길 수 있으며, 하나의 게임 IP로 다양한 콘텐츠와 스토리를 만드는 아프리카TV만의 장점이 드러나기도 했다.
e스포츠 제작에 필요한 장비와 인력, 운영 능력에 더해 게임 콘텐츠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것도 아프리카TV의 강점이다.
현재 리그오브레전드, 발로란트, 배틀그라운드,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등 다양한 종목의 프로 리그가 아프리카TV를 통해 중계되고 있으며, 이들 대회는 아프리카TV가 보유한 3개의 경기장에서 진행되고 있다. 아프리카TV는 프릭업 스튜디오, 비타500 콜로세움에 더해 지난 2022년 OGN이 사용하던 ‘e스타디움’을 개조해 상암 아프리카 콜로세움을 개관했다.
게임 콘텐츠에 대한 이해도와 경험 없이는 제작하기 어려운 게 e스포츠다. 아프리카TV는 다년간 e스포츠 분야에서 쌓아온 '콘텐츠 제작 능력', '송출 플랫폼', '시청 유저' 등의 ‘벨류체인’을 바탕으로 점점 다양한 게임 IP를 활용한 오리지널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다.
아프리카TV가 스티리머, 유튜버 등의 인플루언서들과 함께하는 콘텐츠 제작도 나섰다.
아프리카TV는 지난 8월 타 플랫폼에서 활동하고 있는 인플루언서들도 참여 가능한 아프리카TV 오리지널 게임·e스포츠 브랜드 AF OPEN을 런칭했다. 각 플랫폼 별로 진행되었던 기존 콘텐츠들과 달리 인플루언서들이 활동 플랫폼과 관계없이 참여할 수 있어, 유저들에게 보다 신선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AF OPEN은 오픈 이후 TFT, 메이플스토리, LoL, 배틀그라운드, 이터널 리턴, 로스트아크 등 다양한 게임들과 콜라보를 진행하며, 유저들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유저가 원하면 한다’는 모토 아래 다양한 e스포츠 대회를 개최한 아프리카TV는 유저와 BJ를 넘어 게임 IP의 롱런까지도 고려한 게임 및 e스포프 콘텐츠 생산에 나설 예정이다.
◆레드랩게임즈, ‘롬’ 글로벌 사전예약 시작
레드랩게임즈(대표 신현근)는 자사가 개발하고 카카오게임즈(대표 조계현)와 함께 글로벌 동시 서비스를 준비 중인 신작 하드코어 MMORPG ‘롬(ROM: Remember Of Majesty)(이하 롬)’의 공식 홈페이지를 열고 글로벌 사전예약을 시작한다고 14일 밝혔다.
‘롬’ 글로벌 동시 출시를 앞두고 진행되는 이번 사전예약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참여할 수 있다. 사전예약자에게는 특별 아이템인 ‘맹세의 반지’를 포함한 다양한 게임 내 아이템과 ‘롬’ 한정판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지급하며, 구글 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 사전예약에서는 게임 내 재화, 성장 아이템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아이패드 에어 5세대’, 삼성 아크 모니터’ 등을 지급하는 사전예약 룰렛 이벤트와 사전예약 누적 인원수에 따라 다양한 추가 보상이 제공되는 이벤트도 진행된다.
공식 홈페이지는 4개 언어로 제공되며, 칼데라스 대륙의 대서사시를 그린 ‘롬’의 세계관 영상과 각 지역별 테마로 구성된 OST 영상, 각 클래스 별 특징을 최초로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신현근 PD가 곧 다가올 미디어 쇼케이스와 글로벌 베타테스트를 알리는 첫 번째 PD 브리핑을 공개하며 유저들과 소통을 시작할 계획이다.
◆우리와주식회사 ANF, ‘2023 대한민국 디지털 광고 대상’ 통합 마케팅 부문 ‘금상’ 수상
우리와주식회사(이하 우리와㈜)는 자사의 대표 펫푸드 브랜드 ANF가 지난 5월 전개한 광고 캠페인으로 ‘2023 대한민국 디지털 광고 대상(KODAF 2023)’ 통합 마케팅 부문에서 ‘금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한국디지털광고협회에서 주관하는 ‘2023 대한민국 디지털 광고 대상’은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광고 산업의 지속적인 혁신 성장과 디지털 광고업계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개최되는 시상식으로 일년간 디지털을 메인으로 진행한 광고 중 가장 혁신적인 광고 캠페인을 선정해 수상을 진행한다.
올해는 22년 10월부터 23년 9월 사이 선보인 작품을 대상으로 현재 디지털광고업에 종사하고 있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2차에 걸쳐 공정한 심사를 진행, 7개 분야, 총 18개 부문에서 수상자를 선정했다.
우리와㈜의 ANF는 지난 5월부터 디지털 매체를 통해 ‘반려동물을 이해해 온 68년, 이해하니까 더 무해하게’ 캠페인을 전개하며 진정성 있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보호자가 공감할 수 있는 따뜻한 스토리를 담아낸 것에 높은 평가를 받아 통합 마케팅 부문에서 ‘금상’을 수상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IT이슈] 아프리카TV, 오리지널 콘텐츠 ‘A’시리즈 진행 外
기사입력:2023-12-14 17:30:2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73.80 | ▲14.01 |
코스닥 | 722.81 | ▲0.95 |
코스피200 | 341.31 | ▲2.5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439,000 | ▲200,000 |
비트코인캐시 | 521,000 | ▼9,000 |
이더리움 | 2,597,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10 | ▼170 |
리플 | 3,035 | ▲1 |
이오스 | 1,017 | ▲6 |
퀀텀 | 2,968 | ▲1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416,000 | ▲94,000 |
이더리움 | 2,601,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980 | ▼190 |
메탈 | 1,113 | ▼6 |
리스크 | 680 | ▼1 |
리플 | 3,034 | ▲2 |
에이다 | 965 | ▼6 |
스팀 | 196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360,000 | ▲150,000 |
비트코인캐시 | 521,500 | ▼9,500 |
이더리움 | 2,599,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970 | ▼180 |
리플 | 3,032 | 0 |
퀀텀 | 2,965 | ▲59 |
이오타 | 291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