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이슈] 경동나비엔, ‘제26회 에너지위너상’ 중 ‘에너지절약상’ 수상 外

기사입력:2023-07-21 17:49:29
[로이슈 편도욱 기자] 경동나비엔이 온수 중심 보일러 ‘나비엔 콘덴싱 ON AI(NCB753)’로 ‘제26회 올해의 에너지위너상’에서 ‘에너지절약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경동나비엔 관계자는 "콘덴싱보일러가 가진 에너지 사용량 절감과 대기오염물질 저감 효과에 더해, 연간 20t에 달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친환경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라고 전했다.

소비자시민모임이 주최하는 ‘올해의 에너지위너상’은 에너지 효율이 뛰어난 제품 또는 탄소중립 활동을 펼친 기업을 수상하는 제도이다. 경동나비엔이 받은 ‘올해의 에너지절약상’은 에너지위너상 수상 제품 중에서도 에너지효율 향상 및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 등이 매우 뛰어난 제품에 수여된다. 이번 수상으로 경동나비엔은 1988년 아시아 최초로 콘덴싱을 개발한 데 이어, 난방에서 온수로 보일러의 패러다임을 바꾸며 다시 한번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혁신을 선도하고 있음을 입증했다.

수상 대상이 된 ‘나비엔 콘덴싱 ON AI’는 난방설비로 여겨져 온 보일러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킨 제품이다. 가장 대표적인 기능은 ‘온수레디 시스템’으로, 퀵버튼을 눌러 놓으면 10초 이내로 온수를 사용할 수 있어 온수가 나올 때까지 버려지던 물을 절약할 수 있다. 이는 4인 가족 기준 연간 20t으로, 4인 가구의 약 한 달치 물 사용량에 해당한다. 만약, ‘나비엔 콘덴싱 ON AI’가 100만대만 보급되어도 연간 2천만t에 달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 극심한 가뭄이 반복되는 최근의 기후 상황을 고려할 때, 가정의 노후한 보일러를 ‘나비엔 콘덴싱 ON AI’로 교체하는 것 자체가 ‘녹색 실천’으로 이어지는 셈이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나비엔 콘덴싱 ON AI’는 지난 6월에도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인증하는 ‘녹색제품인증’을 받은 바 있다.

콘덴싱보일러 특유의 친환경성도 탁월하다. 높은 에너지 효율 덕분에 가스 사용량을 일반보일러 대비 최대 28.4%까지 절감할 수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콘덴싱보일러 사용 시 연간 44만원의 가스비를 절감할 수 있는데, 가스 요금이 인상되면 절감 효과는 더욱 커진다. 또한, 탁월한 성능으로 미세한 온도 제어를 구현해 여름철 미온수를 사용할 때도 보일러가 꺼짐과 켜짐을 반복하지 않고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모되는 가스량을 절감할 수 있다.

◆디티앤씨알오, ㈜옴니아메드의 유전자 치료제 국책과제에 공동연구개발기업으로 참여

디티앤씨알오(대표 박채규)는 산업통상부 주관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인 이종기술융합형 사업에 공동연구개발기업으로 참여한다고 밝혔다. 연구개발 과제명은 “고분자 소재 기반 백신 및 조직 선택적 유전자 치료제 전달체 플랫폼 개발”이며 ㈜옴니아메드(대표이사 김원종)가 주관기업이며, ㈜디티앤씨알오 및 ㈜지아이셀이 공동연구개발기업으로 참여한다.

본 과제의 총 사업기간은 2023년 4월 1일부터 2025년 12월 31일로 약33개월이며, 과제 규모는 총37억6천만원 수준으로 최종 목표는 고분자 소재 기반의 장기/조직 선택적 mRNA 전달체 개발 및 상용화를 통한 고분자 소재 유전자 치료제의 개발이다.

COVID19 팬데믹 상황을 거치면서 새로운 백신 및 치료제로 급 부상한, mRNA치료제에서 핵심 기술중의 하나인 리피드나노파티클(LNP)전달체 관련 기술은 미국 및 유럽 기관들에 의해 이미 선점되어 후발 주자인 국내에서 진입하기가 매우 까다로운 기술영역이다. LNP보다 활용도가 높고 안정성(stability) 및 안전성(safety)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는 고분자 소재(PNP)는 향후 LNP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유망한 소재로 그 잠재력이 뛰어나다.

◆수산인더스트리 자회사 수산이앤에스, 한국수력원자력과 총 662억 규모의 원자력 발전소 계측제어설비 정비용역 수주

발전 플랜트 종합정비 솔루션 기업 ㈜수산인더스트리(126720, 한봉섭, 김병현 각자대표)는 100% 자회사인 수산이앤에스가 한국수력원자력과 총 662억원 규모의 계측제어설비 정비용역 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월성1발전소, 월성3발전소, 고리3발전소 등 3개 발전소에 대한 계측제어설비 정비용역 계약으로, 각 계약 금액은 230억원, 267억원, 165억원이다. 계약기간은 오는 8월부터 2026년 7월까지 3년이다.

회사는 지난 4월 수주한 신한울 3, 4호기에 대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공급 계약 또한, 향후 정비용역 계약까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8.55 ▲1.94
코스닥 721.54 ▲4.30
코스피200 338.69 0.0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0,246,000 ▲1,017,000
비트코인캐시 524,500 ▲5,000
이더리움 2,673,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4,660 ▲260
리플 3,203 ▲12
이오스 1,015 0
퀀텀 3,199 ▲1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0,416,000 ▲1,084,000
이더리움 2,675,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24,660 ▲240
메탈 1,223 ▲9
리스크 789 ▼6
리플 3,204 ▲10
에이다 1,026 ▲7
스팀 21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0,280,000 ▲1,040,000
비트코인캐시 522,500 ▲2,000
이더리움 2,675,000 ▲21,000
이더리움클래식 24,640 ▲240
리플 3,204 ▲11
퀀텀 3,190 ▲13
이오타 300 ▼4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