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긴급복지 콜센터’ 카카오톡·누리집 확대 운영

‘경기복G톡’과 ‘경기도 긴급복지 위기상담 콜센터 누리집’ 개설 기사입력:2023-07-04 17:09:46
긴급복지카카오톡 비즈니스 채널

긴급복지카카오톡 비즈니스 채널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차영환 기자] 경기도는 위기 도민을 발굴하기 위해 운영 중인 ‘긴급복지 콜센터(핫라인)’를 7월부터 카카오톡(경기복G톡)과 누리집으로 확대 운영한다고 4일 밝혔다.

‘경기복G톡’은 상시 상담이 가능한 카카오 채널이다. 언어장애 등 전화상담이 어려운 대상자를 위해 개설했고, 콜센터 운영시간 외 시간 또는 상담원이 모두 통화 중인 경우를 대비해 예약 상담도 할 수 있다. 카카오톡에서 ‘경기복지’, ‘경기복G톡’ 등을 검색 후 채널 추가하기 버튼을 누르면 이용할 수 있다.

‘경기복G톡’은 두 가지 방식으로 운영한다. ‘상담원 채팅’은 평일 오전 8시~오후 10시, 주말·공휴일 오전 9시~오후 6시 상담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에 대한 문의와 어려운 이웃에 대한 제보도 가능하다. ‘챗봇 채팅’은 24시간 상시 상담이 가능하고, 사회복지제도에 대한 간단한 문의에 대한 답변을 받을 수 있다.

‘경기도 긴급복지위기상담 콜센터 누리집(홈페이지)’도 함께 운영한다. 24시간 상시 긴급복지 위기 상담과 어려운 이웃에 대한 제보를 할 수 있다. 익명으로 복지상담과 제보가 이뤄져 개인정보를 보호받을 수 있다. 복지사업 안내, 관할 주민센터 찾기 등의 편의 기능도 제공된다. 포털사이트에서 ‘경기도 긴급복지위기상담 콜센터’를 검색 후 접속할 수 있다.

이로써 경기도의 위기도민 발굴 및 제보 통로는 ‘경기도 긴급복지위기상담 콜센터’, ‘경기도 긴급복지 핫라인’, 경기복G톡(상담원 채팅 및 챗봇 채팅), 누리집 등 4개로 늘어났다.

김능식 경기도 복지국장은 “긴급복지 위기 상담 콜센터의 상담 채널 확대를 통해 복지 사각지대 도민 발굴에 더욱 힘쓰겠다” 라며 “도와 시·군 및 민관 기관들의 협력도 강화해 위기가구를 찾아내고, 복지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82.13 ▲37.93
코스닥 842.25 ▲7.49
코스피200 460.76 ▲6.7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140,000 ▲232,000
비트코인캐시 833,500 ▲2,500
이더리움 6,292,000 ▲85,000
이더리움클래식 30,040 ▲240
리플 4,257 ▲30
퀀텀 3,61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050,000 ▲280,000
이더리움 6,286,000 ▲80,000
이더리움클래식 30,060 ▲290
메탈 1,006 0
리스크 525 ▲2
리플 4,254 ▲27
에이다 1,258 ▲16
스팀 18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030,000 ▲230,000
비트코인캐시 833,000 ▲3,000
이더리움 6,285,000 ▲80,000
이더리움클래식 30,020 ▲250
리플 4,253 ▲28
퀀텀 3,630 ▲26
이오타 272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