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가비아(대표 김홍국)가 하이웍스 전자계약 서비스를 출시하고, 무료 사용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27일 밝혔다.
가비아 관계자는 "기업 고객이 사내 인사 계약을 간편하게 체결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전자계약 기능을 신설했다"라며 "동시에 보다 많은 고객이 하이웍스 전자계약을 이용해 볼 수 있도록, 7월 24일까지 이용료를 무료화한다"라고 전했다.
가비아가 새롭게 공개한 하이웍스 전자계약은 인사 계약서의 작성, 서명, 전송, 보관까지, 계약의 전 과정을 전산화한 서비스다. 근로계약, 연봉계약, 인수인계 확인 등 다양한 형태의 인사 계약이 가능하다. 하이웍스 전자계약 관리자는 사내 전 직원을 대상으로 전자계약서를 일괄 전송하고 완료된 계약서는 자동 입수할 수 있다. 계약 진행 상황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며, 미체결된 계약은 재요청할 수 있다. 하이웍스 전자계약을 도입하면, 인사 담당자가 일일이 사내 임직원과 대면하여 서면 계약을 체결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보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하이웍스 전자계약은 각종 인사 관련 계약서를 한 곳에 저장하고, 조회할 수 있어 별도의 물리적인 문서 저장고가 필요 없다. 또한 인사 계약서별 보관기간 설정, 서식 최적화(커스터마이징)도 가능해 이용상의 편리성도 높다.
사내에 전자계약 서비스를 도입하고자 하는 고객이라면 누구나, 가비아 홈페이지에서 하이웍스 전자계약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이호준 가비아 하이웍스사업팀 이사는 “사내 인사 문서는 법이 정한 바에 따라 체결, 간수, 폐기해야 하므로, 체계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라며 “하이웍스 전자계약으로 종이 서류 중심의 인사 업무를 전산화한다면, 사내 행정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가비아가 2008년 출시한 그룹웨어 ‘하이웍스’는 전자계약 외에도, 전자세금계산서, 전자결재, 근태 관리 등 기업 업무와 직결된 실용적인 기능들을 통합 제공하고 있다. 특유의 안정성과 편의성으로, 2021년 국내 그룹웨어/메일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텔스트라, “보안 사고 증가에 따라 북아시아 기업도 보안 자동화 기능 활용 필요”
국제 통신 기술 기업 텔스트라(Telstra)가 기술 연구 및 자문 기업 옴디아(Omdia)와 함께 실시한 기업의 탄력성과 혁신을 위한 보안 기술 활용 사례 설문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텔스트라와 옴디아는 2022년 말 250명의 기술임원을 대상으로 북아시아 기업의 보안 운영(Security Operations)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해 복잡한 기술 환경과 위협에 대한 보안 자동화 활용도를 평가했다.
이 설문은 기술 스택 및 전체적 위험 관리 과정의 보안 자동화 활용도를 조사함으로써 기업을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보안 자동화 방법을 찾기 위해 실시됐다. 설문 결과는 보안담당 임원들에게 기업의 사이버 보안 탄력성을 강화하고 디지털 혁신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중소기업 경기전망, 한달만에 다시 개선
중소기업 경기전망이 한달 만에 다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13∼20일 중소기업 3천150개를 대상으로 5월 업황 경기 전망지수(SBHI)를 조사한 결과, SBHI가 83.8로 전월보다 3.1포인트 상승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수치는 지난해 10월 전망치(85.1) 이후 7개월 만의 최고치다. 그러나 지난해 동월과 비교하면 3.8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IT이슈] 가비아, 하이웍스 전자계약 출시 外
기사입력:2023-04-27 12:36:3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68.73 | ▲26.99 |
코스닥 | 782.51 | ▲5.27 |
코스피200 | 428.50 | ▲4.09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7,893,000 | ▼313,000 |
비트코인캐시 | 787,000 | ▲500 |
이더리움 | 6,027,000 | ▼4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620 | ▼180 |
리플 | 4,000 | ▼13 |
퀀텀 | 3,074 | ▼2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7,915,000 | ▼381,000 |
이더리움 | 6,028,000 | ▼4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630 | ▼210 |
메탈 | 996 | ▼5 |
리스크 | 531 | ▼3 |
리플 | 4,001 | ▼13 |
에이다 | 1,192 | ▼13 |
스팀 | 181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7,910,000 | ▼360,000 |
비트코인캐시 | 786,500 | ▼1,000 |
이더리움 | 6,025,000 | ▼5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640 | ▼210 |
리플 | 3,999 | ▼17 |
퀀텀 | 3,113 | 0 |
이오타 | 27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