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이슈] 드래곤플라이, 네오리진과 중화권 게임시장 본격 공략 外

기사입력:2023-03-21 13:22:11
[로이슈 편도욱 기자] FPS 게임 전문 개발사 드래곤플라이(030350)가 게임 퍼블리싱 및 정보보안 기업 네오리진과 양사 공동 개발 게임 프로젝트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드래곤플라이 관계자는 "이번 MOU 체결을 토대로 드래곤플라이의 IP 기반 게임과 네오리진의 중국 내 협력사들이 함께 ‘중국 진출∙게임 콘텐츠 소싱’ 목적을 가지며 전략적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양사는 공동의 이익을 위해 ▲기획∙개발계획 ▲서비스 전략 수립 ▲게임 개발 관련 노하우 ▲리소스 인력 등의 전략을 활용한 다양한 협업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네오리진의 관계사인 게임 퍼블리싱 기업 ‘뮤조이(mujoy)’와 게임 개발사 ‘조이포트(Joyport)’는 중국과의 관시(關係·인적 네트워크)가 두텁고, 중국 판호(게임 서비스 허가) 발급 경험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는 강점이 있다. 현재 네오리진은 150여 개 국가에서 ‘여신전쟁’을 퍼블리싱 중이며, 글로벌 네트워크와 운영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조이포트는 중국 항저우에서 처음으로 게임출판허가증을 발급받은 이후 최근 3년간(2020~2022년) 총 38개의 판호를 발급받았으며, 이는 중국 게임사 상위권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중국 게임출판업무위원회에서 발간한 ‘2022년 중국 게임 산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게임시장 매출은 2,658억 8,400만 위안(약 48조 원)으로 나타났다. 최근 문호를 다시 개방하기 시작한 세계 2위 게임시장 중국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현지 정부의 유통 허가권인 ‘판호’ 발급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드래곤플라이는 판호 발급 경험이 많은 네오리진과 손잡으며 중국 시장의 돌파구를 삼아 유통망을 확장하겠다는 포부다.

드래곤플라이 원명수 대표는 "중국 판호 발급 경험이 많은 네오리진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한국과 중국을 잇는 가교 구실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중국 내 접속우회로 한국 게임을 즐기는 유저수가 상당한걸로 알고 있다. 스페셜포스의 성공적인 로컬라이징(Localizing, 현지화)을 통해 중국 시장 성장 모멘텀이 재부각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옴디아, ‘디지털 콘텐츠 & 채널 인텔리전스 서비스 보고서’ 출간

인포마테크의 기술 연구 및 자문 그룹인 옴디아가 ‘2023 디지털 콘텐츠 & 채널 인텔리전스 서비스 보고서’를 21 일 발표했다.

옴디아는 본 보고서를 통해 2021년 코로나19 전염병 대유행으로 인한 콘텐츠 제작 지연 및 취소로 타격을 받았지만, 2022년에는 세계 유수의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가 제작하는 오리지널 콘텐츠가 다시 되살아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옴디아에 따르면 넷플릭스, 아마존, 애플 TV+, 디즈니+, HBO Max, Hulu, Paramount+, Peacock은 2022년에 총 1,752개 타이틀과 4,878 시간에 해당하는 첫 번째 오리지널 콘텐츠를 공개했다. 이는 전년 대비 타이틀은 60%, 시간은 87% 증가한 수치이다.

◆첨단로봇 규제혁신 기업설명회 개최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21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엘타워에서 로봇개발 기업과 로봇 도입을 희망하는 수요기관 관계자 8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첨단로봇 규제혁신 기업설명회를 개최했다.

설명회는 지난 2일 제3차 규제혁신전략회의에서 발표된 첨단로봇 규제혁신 방안을 로봇 분야 기업들과 공유하고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6.61 ▼8.81
코스닥 717.24 ▼9.22
코스피200 338.74 ▼0.3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9,163,000 ▼530,000
비트코인캐시 523,500 ▼3,500
이더리움 2,666,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4,340 ▼150
리플 3,207 ▼18
이오스 984 ▼3
퀀텀 3,182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9,101,000 ▼551,000
이더리움 2,665,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4,370 0
메탈 1,213 ▼6
리스크 788 ▼6
리플 3,206 ▼18
에이다 1,010 ▼7
스팀 216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9,070,000 ▼520,000
비트코인캐시 523,500 ▼3,000
이더리움 2,665,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4,360 ▼50
리플 3,206 ▼18
퀀텀 3,155 0
이오타 304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