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 스테이크 레시피 공모전 대상 발표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이하 아웃백)가 레시피 공모전 ‘Great Steak Challenge'의 최종 결과를 발표했다.
아웃백 관계자는 "지난 5일부터 12일까지 총 8일간 아웃백 공식 소셜 미디어 채널을 통해 레시피 공모전 예선팀(10개 팀) 중 선정된 상위 3개 팀을 대상으로 소비자 투표를 진행, 본선 심사를 전개했다"라며 "이번 레시피 공모전의 경우 참여 수(좋아요 수 집계)가 5천여 건에 육박해 아웃백 브랜드를 향한 고객들의 관심을 다시 실감하게 했다. 최종 순위는 소비자 투표(30%)와 내부 심사(70%)를 종합해 1위에서 3위까지 선정됐다"고 전했다.
이어 "결과는 지난 16일 오후 2시 공식 인스타그램에서 공표됐다. 최종적으로 ‘한우 안심&채끝등심 피티비에’가 소비자 투표와 내부 심사에서 모두 최고 득점을 얻으며 1위에 등극했다"라며 "특히 한우 안심과 등심을 샌드하여 페스츄리 안에 넣은 독창적인 레시피가 호평을 얻으면서 전체 득표수 중 약 41% 소비자의 지지를 받았다"고 밝혔다.
또 "2위와 3위는 각각 ‘본 매로우 스트립 스테이크’와 ‘텐더로인 스테이크’가 차지했다"라며 "‘본 매로우 스트립 스테이크’는 새로운 식재료인 본 매로우를 사용해 창의성 항목에서 고득점을 받았다. 가니쉬(케이퍼 샬롯, 갈릭), 소스(로스트 갈릭 스파이시 디핑 소스) 등에서 스테이크와의 조화를 살리면서 아웃백 방향성을 담아 본사 평가단의 주목을 끌었다"고 전했다.
수상자에게는 1위부터 500만 원, 200만 원, 100만 원의 상금이, 예선에 오른 7개 팀에게는 3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롯데멤버스, 신한카드와 영화관 이용현황 분석
롯데멤버스(대표이사 전형식)가 신한카드와 함께하는 빅데이터 분석 교류의 일환으로 코로나19 이후 영화관 이용현황을 분석했다.
그 결과, 올 상반기 영화관 이용고객 수(구매 티켓 수 기준)가 지난해 상반기 대비 17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에는 영화관 이용고객 수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월의 94% 수준까지 회복됐다.
특히 여성보다 남성 관람객 증가 속도가 빨랐다. 올 상반기 남성 관람객 수는 지난해 상반기보다 164.8% 증가, 2019년 상반기와 동일(100.0%)한 수준을 기록했다. 이용비중도 2019년 상반기에는 여성(64.9%)이 남성(35.1%)을 웃돌았으나, 올 상반기 남성 50.1%, 여성 49.9%로 역전됐다.
◆지누스, 2030년까지 탄소배출 ‘제로화’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글로벌 온라인 가구·매트리스 기업 지누스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의 일환으로 오는 2030년까지 탄소중립(넷제로, Net Zero)을 달성하겠다는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을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탄소중립은 기업의 경영활동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최대한 감축하고, 회사가 배출한 온실가스를 줄이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지누스는 회사가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전력부문에서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오는 2026년까지 미국·중국·인도네시아 등 3곳의 해외 생산법인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100% 태양광 신재생 에너지로 대체한다는 계획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유통이슈]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 스테이크 레시피 공모전 대상 발표 外
기사입력:2022-09-19 20:04:3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88.07 | ▼4.22 |
코스닥 | 820.67 | ▲2.40 |
코스피200 | 431.10 | ▼0.5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220,000 | ▼276,000 |
비트코인캐시 | 716,500 | ▼3,500 |
이더리움 | 5,058,000 | ▲24,000 |
이더리움클래식 | 33,720 | ▼390 |
리플 | 4,759 | ▲39 |
퀀텀 | 3,450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279,000 | ▼245,000 |
이더리움 | 5,055,000 | ▲2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3,780 | ▼300 |
메탈 | 1,152 | ▲2 |
리스크 | 659 | ▼3 |
리플 | 4,761 | ▲42 |
에이다 | 1,162 | ▲1 |
스팀 | 210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310,000 | ▼190,000 |
비트코인캐시 | 717,500 | ▼2,500 |
이더리움 | 5,060,000 | ▲2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3,730 | ▼360 |
리플 | 4,758 | ▲37 |
퀀텀 | 3,448 | 0 |
이오타 | 325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