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종성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장애인복지법상 국가전문자격증 관리를 강화하도록 하는 내용의 「장애인복지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 했다고 31일 밝혔다.
국가 자격은 국민의 생명·건강 및 안전과 직결되는 등 그 필요성이 인정되어 법령에 따라 국가가 신설하여 관리‧운영되고 있다. 특히 자격의 대여·알선 행위는 국가 자격의 신뢰성을 훼손하고, 자격제도의 근간을 침해하는 불법행위로서 엄격하게 관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하지만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의지·보조기 기사, 언어재활사, 장애인 재활상담사의 경우, 사회적 취약계층인 장애인 등을 상대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임에도 대여·알선행위에 대한 제재 규정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종성 의원이 대표발의하는 「장애인복지법 일부개정법률안」에는 관련 자격증 대여자의 경우 형사처벌은 1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 벌금으로 신설·강화하고, 자격증을 대여받은 자는 1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 벌금으로 형사처벌 규정을 신설하였으며, 자격증 대여 알선자의 경우는 자격증 대여자 또는 대여받은 자와 동일한 수준의 형사처벌 규정을 마련하였다.
이는 「자격기본법」 제 40조에 따라 자격증을 대여하거나 대여받은 자와 동일한 벌칙 기준을 적용하였다.
이종성 의원은 “개정안은 2018년 12월 국민권익위원회가 국가전문자격증 대여·알선행위 제재 강화를 의결한 사안에 따른 것이다.”라며, “자격 관리를 강화함으로서 부패행위의 예방과 청렴 문화를 조성하고, 복지서비스를 받은 장애인 등을 더욱 보호하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안제민 로이슈 기자 newsahn@hanmail.net
이종성 의원, 국가전문자격증 관리 강화 ‘장애인복지법’ 개정안 발의
기사입력:2022-05-31 19:48:4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10.81 | ▲22.74 |
코스닥 | 821.69 | ▲1.02 |
코스피200 | 434.56 | ▲3.46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128,000 | ▼96,000 |
비트코인캐시 | 713,500 | ▲1,500 |
이더리움 | 5,128,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32,680 | 0 |
리플 | 4,853 | ▼4 |
퀀텀 | 3,473 | ▼1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180,000 | ▼67,000 |
이더리움 | 5,122,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32,720 | ▲10 |
메탈 | 1,175 | ▲6 |
리스크 | 683 | ▲3 |
리플 | 4,850 | ▼11 |
에이다 | 1,209 | ▼2 |
스팀 | 216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190,000 | ▼80,000 |
비트코인캐시 | 713,000 | ▲500 |
이더리움 | 5,120,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2,710 | ▼20 |
리플 | 4,852 | ▼10 |
퀀텀 | 3,504 | ▲50 |
이오타 | 32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