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제약, 위스콘신대학과 플랫폼 기반 신약개발 연구협약 체결

기사입력:2022-04-19 15:47:14
[로이슈 편도욱 기자] 동국제약(대표이사 송준호)은 최근 미국 위스콘신주에 위치한 세계적인 명문 위스콘신대학교-매디슨과 신약연구 및 제품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번 협약 체결에 따라 위스콘신대학교는 ‘약물전달체-펩타이드 복합체’(DKF-DC101)의 물질 최적화 및 이를 위한 학술연구를 진행하고, 동국제약은 의약품 개발을 위한 독성 및 효력 평가, 비임상 시험 등을 진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동국제약과 위스콘신대학교는 특정 약물전달체 기술을 사용하여 기존 3세대 면역항암제나 이에 상응하는 치료제 대비 항암효과가 더 우수하고 경제성 측면에서도 개선된 제품(DKF-DC101)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3세대 면역항암제는 암세포가 인체의 면역체계를 회피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더 잘 인식하여 공격하도록 하는 약물이다. 인체의 면역체계를 통해 작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항암제보다 부작용은 상대적으로 적고 일부 환자들에 현저한 치료효과를 나타내지만, 전반적으로 낮은 반응률(response rate)과, 내성 발생 등 개선점이 지적되어 왔다.

동국제약 DK의약연구소 강수연 연구소장에 따르면, “현재까지 기초연구결과를 종합분석해 보면 ‘DKF-DC101’가 3세대 면역항암제 대비 항암효과가 더 우수한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특히, 여기에 사용된 약물전달체는 플랫폼 기술로써 자사가 보유한 펩타이드 전달 플랫폼 역량과 시너지를 발휘하여 위스콘신대학교와 상호 윈-윈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동국제약은 펩타이드 전달 플랫폼 기술을 ‘DKF-DC101’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더 많은 타겟 펩타이드에 적용함으로써 우수 파이프라인을 확장할 계획이다.

이날 동국제약과 연구협약을 맺은 위스콘신대학교-매디슨은 노벨상 수상자만 20여명을 배출할 만큼 세계 최상위 연구대학으로 특히 약학대학의 경우 미국대학 중 7위를 기록할 정도로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77.27 ▼2.21
코스닥 722.52 ▼7.07
코스피200 341.49 ▲0.2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280,000 ▲493,000
비트코인캐시 588,000 ▲1,500
이더리움 3,532,000 ▲59,000
이더리움클래식 28,250 ▲300
리플 3,392 ▲24
이오스 1,298 ▲14
퀀텀 3,561 ▲3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227,000 ▲564,000
이더리움 3,532,000 ▲63,000
이더리움클래식 28,220 ▲250
메탈 1,285 0
리스크 785 ▲2
리플 3,389 ▲21
에이다 1,146 ▲12
스팀 22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270,000 ▲520,000
비트코인캐시 588,000 ▲2,500
이더리움 3,534,000 ▲56,000
이더리움클래식 28,250 ▲270
리플 3,392 ▲21
퀀텀 3,513 ▲3
이오타 348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