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국내 유일 공공 종합시험인증기관인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하 KTL, 원장 김세종)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스마트계량 측정기술 기반 조성사업'을 통해 '5~20kg 분동(F1급) 교정 자동화 시스템'을 국산화했다고 5일 밝혔다.
KTL에 따르면 분동은 질량의 표준이 되는 물질로서, 정밀한 질량 측정이 요구되는 제약, 의학, 식품과 같은 산업 현장에서 정밀·정확도와 신뢰도 확보를 위해 필수로 활용된다.
분동 교정은 한국인정기구(KOLAS)의 지정을 받은 기관이 보유한 기준 분동과 기업체에서 의뢰한 교정 대상 분동의 무게를 지속적으로 비교해 오차값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통상 약 24개월 주기로 교정을 받는 것이 권장된다.
그간, 교정 작업자는 분동 교정을 위해 기준 분동과 교정 대상 분동을 번갈아 무게를 재며 수동으로 오차값을 측정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KTL 유동훈 공업물리표준센터장과 이민수 수석연구원이 1년 여간의 노력 끝에 분동 교정에 많이 사용되는 F1급 5kg~ 0kg 분동 교정 자동화 시스템 개발로 분동 교정 과정이 자동화된다.
이를 통해 분동 교정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시켜 분동 교정시간을 50%로 단축시키고, 로봇에 의한 측정으로 측정 부정확도를 5% 정도 개선할 수 있다. 정밀 측정이 필요한 국내 기업들의 제품 개발·상용화를 신속히 지원하고, 정밀 정확도와 신뢰도 향상으로 기업 품질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외산 분동 교정 자동화 장비를 사용할 경우, 고가의 장비값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AS) 시 해외 전문가가 직접 방문해야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어 국내 교정기관들의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에 개발된 분동 교정 자동화 시스템을 국내에 보급·확산해 국내 교정 기관들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1대에 5억원 가량의 수입대체 효과도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KTL 유동훈 공업물리표준센터장은 “교정·시험·검사 등의 분야에서 측정 자동화는 정밀정확도와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할 수 있는 방법”이라며 “KTL의 56년간 기술노하우를 바탕으로 측정 자동화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확보 및 기술지원을 확대하여 공공기관으로서의 책무 이행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과제의 총괄책임자인 KTL 이민수 수석연구원은“이번에 개발된 F1급 분동 교정 자동화 시스템을 타 연구기관과 협업하여 시스템을 고도화할 계획”이라며 “앞으로 측정 자동화 시스템을 여러 분야로 확대해 나아감과 동시에 국내에 본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교정·시험·검사 기관에 공급해 업무 효율성 제고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KTL, 분동 교정 분야 자동화 시스템 국산화 성공
기사입력:2022-04-05 19:15:0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75.77 | ▼7.46 |
코스닥 | 800.47 | ▲2.77 |
코스피200 | 428.07 | ▼0.3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450,000 | ▲362,000 |
비트코인캐시 | 700,000 | ▲2,000 |
이더리움 | 4,004,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930 | ▲200 |
리플 | 3,776 | ▲3 |
퀀텀 | 3,102 | ▲8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383,000 | ▲433,000 |
이더리움 | 4,002,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960 | ▲210 |
메탈 | 1,079 | ▲14 |
리스크 | 612 | ▲15 |
리플 | 3,774 | ▲4 |
에이다 | 970 | ▼1 |
스팀 | 202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460,000 | ▲410,000 |
비트코인캐시 | 700,000 | ▲2,500 |
이더리움 | 4,001,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950 | ▲200 |
리플 | 3,777 | ▲3 |
퀀텀 | 3,100 | ▲103 |
이오타 | 26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