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올 봄, 공급가뭄 지역에 분양 단비가 내릴 전망이다. 공급가뭄 지역은 노후 아파트의 비율이 높아 신축 아파트로 이전하려는 대기 수요가 많은 게 사실이다. 또 부족한 공급 대비 주택 수요가 풍부하기 때문에 환금성도 높다. 이러한 지역적 특성으로 신규 분양 단지는 청약 경쟁도 치열하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호반건설이 올해 2월 대전 서구에서 분양한 ‘호반써밋 그랜드 센트럴’이 최고 34.45대 1의 경쟁률로 흥행했다. 대전은 10년 초과 아파트 비율이 전체의 80%가 넘는 지역으로, 지난해 신축 공급도 부족했던 곳이다.
새 아파트에 대한 수요는 기존 집값 상승으로도 나타난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제주도 서귀포시 중문동 소재 ‘e편한세상 중문’의 경우 올해 1월 전용 84㎡에서 6억원(6층)에 거래됐다. 분양가가 4억7500만원이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2년반 만에 집값이 약 26%(1억2500만원) 상승했다. 중문은 물론 서귀포시 내에서도 오랜만에 공급된 신축 아파트의 높은 희소가치로 웃돈이 붙고 있는 모습이다.
◆ 공급가뭄 지역 들어서는 분양 단지 어디?
올해 봄 노후주택 비율이 높은 공급가뭄 지역 내 신규 분양이 속속 선보여 수요자들의 눈길을 끈다.
제주시에서는 한국자산신탁이 시행, 호반건설이 시공하는 ‘호반써밋 제주’가 3월 중 선보일 예정이다. 제주시는 2020년 기준 10년 이상 노후주택비율(통계청)이 약 64%인 데다 지난해 공급량이 277가구 수준에 머물렀다. ‘호반써밋 제주’는 ‘호반써밋’의 제주 첫 진출작으로, 용두암 해변이 가까워 일부세대 바다조망권을 확보하고 있다. 용두암·용담공원·올레길(17번 코스)·용연계곡 등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췄으며, 각종 도로망과 공항·항만·버스터미널을 품어 접근성도 우수하다. 단지는 용담2동에서 전용 84·113㎡ 총 213가구로 조성된다.
전라남도 순천시에서는 중우건설이 ‘마크원 순천’이 3월 분양 예정이다. 순천시는 10년 이상 노후주택비율이 약 74%로 높은 지역이다. 지난해 아파트 공급량은 전년대비 96% 감소한 872가구였다. 이 단지는 편리한 교통망을 기반으로 동천, 봉화산, 근린공원 등을 품어 깨끗한 주거환경을 확보하고 있다. 학세권은 물론 탄탄한 생활 인프라도 갖춰져 있다. 전용 112~153㎡ 총 99가구 규모다.
㈜신일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서 ‘온양 발리 신일 해피트리 더루츠’ 전용 59~84㎡ 총 848가구를 3월 중 선보인다. 울주군의 노후주택비율은 약 72%(10년 이상)이며, 지난해 아파트 공급량은 236가구에 불과했다. 이 단지는 동해선·KTX 남창역 인근에 위치, 각종 도로망이 가깝고 도보권 학군을 품고 있다. 숲세권 환경과 풍부한 생활 인프라도 더했다.
대우건설은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서충주 푸르지오 더 퍼스트’를 4월 중 공급할 계획이다. 충주시 내 10년 이상 노후주택 비율은 약 73%이며, 지난해 아파트 공급은 733가구이다. 광역도로망을 토대로 각종 산업단지 배후수요를 품고 있다. 중앙공원, 저수지 등 자연환경이 가깝고, 전 연령대 학군이 갖춰질 예정이다. 전용 74~124㎡ 아파트 1029가구 및 오피스텔 140실로 조성된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반갑다 새 아파트”…공급가뭄 지역에 분양 ‘단비’
기사입력:2022-03-11 17:45:0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969,000 | ▼751,000 |
비트코인캐시 | 522,000 | ▼7,500 |
이더리움 | 2,548,000 | ▼5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840 | ▼300 |
리플 | 3,132 | ▼77 |
이오스 | 966 | ▼23 |
퀀텀 | 3,052 | ▼8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850,000 | ▼860,000 |
이더리움 | 2,544,000 | ▼5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800 | ▼310 |
메탈 | 1,186 | ▼30 |
리스크 | 761 | ▼21 |
리플 | 3,127 | ▼82 |
에이다 | 980 | ▼25 |
스팀 | 214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060,000 | ▼680,000 |
비트코인캐시 | 522,000 | ▼7,500 |
이더리움 | 2,545,000 | ▼5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750 | ▼370 |
리플 | 3,129 | ▼79 |
퀀텀 | 3,065 | ▼35 |
이오타 | 295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