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생체 간이식에 간을 부분 공여하고 난 뒤에는 건강관리에 특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장기이식센터(센터장 허우성) 이식외과 김종만, 조재원 교수 연구팀은 최근 2002년부터 2018년까지 우리나라 생체 간 공여자 1만 2372명을 전수조사해 이 같이 밝혔다. 이번 연구는 소화기 분야 최고 권위지인 ‘유럽간학회지(Journal of Hepatology, IF 25.1)’에 지난해 말 발표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생체 간 공여자의 78.5%가 20세 이상 39세 이하이고, 64.7%가 남자였다. 기증 후 지금까지 관찰 기간동안 89명(0.7%)의 생체 간 공여자가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일반적으로 생체 간 공여자의 사망률이 1% 미만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기존 연구보다 낮은 수치다.
사망원인을 분석한 결과 절반이 넘는 53.9%(48명)가 자살이나 교통사고 등 생체 간이식 수술과 관련 없는 ‘외적 요인’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나머지 사망원인 역시 암(18명, 20.2%)이 가장 많았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건강검진을 받은 모든 일반인들중에 생체 간 공여자와 비슷한 일반인들을 여러 조건에 따라 ‘세 그룹’으로 선택해서 비교해 생체 간 공여자의 사망위험 및 여러 질환들의 발생을 평가했다.
A그룹은 일반인 중에서 성별, 나이, 추적 시기를 동일하게 매칭했으며 B그룹은 동반 질환이 없는 일반인 중에서 성별, 나이를 매칭해서 간 기증에 적합한 수준의 건강상태를 유지하는 사람으로 선정했다. C그룹은 위의 조건과 더불어 고혈압, 당뇨, 단백뇨 등 각종 질환이 전혀 없는 아주 건강한 사람들로만 따로 선택했다.
연구팀은 통계적 보정을 거쳐 연간 1000명당 사망 건수로 환산 비교했다.
그 결과 생체 간 공여자의 사망 위험은 1000인년당 0.91건으로 A, B그룹 보다 사망위험이 낮았으나 아주 건강한 사람만 모은 C그룹에 비해선 사망위험이 높았다.
이 밖에도 합병증 자체가 드물긴 해도 생체 간 공여자가 간부전을 비롯해 우울증, 암, 당뇨, 고혈압, 뇌졸중, 뇌출혈, 말기신부전 등 각종 질환에 노출될 위험 역시 C그룹에 한해 더 높은 것으로 추산됐다.
연구를 주도한 김종만 교수는 “간을 비롯해 생체 장기기증은 생명을 살리는 용기 있는 결정”이라며 “기증자클리닉 통한 기증 전 철저한 기증 평가, 기증 후 지속적인 추적 관리 등 ‘체계적 건강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2021년 미국이식학회에서 선정한 ‘가장 많이 읽힌 10개 연구 중에 하나’로 선정됐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삼성서울병원, 우리나라 간 공여자 전수 조사 실시..."체계적 관리 필요"
기사입력:2022-01-18 20:29:1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10.74 | ▲5.62 |
코스닥 | 817.53 | ▲6.13 |
코스피200 | 433.59 | ▲0.73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5,074,000 | ▲3,000 |
비트코인캐시 | 841,500 | 0 |
이더리움 | 6,006,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28,680 | ▼30 |
리플 | 4,028 | ▲3 |
퀀텀 | 3,712 | ▲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5,190,000 | ▲31,000 |
이더리움 | 6,010,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680 | ▼60 |
메탈 | 973 | ▼1 |
리스크 | 510 | ▲1 |
리플 | 4,033 | ▲8 |
에이다 | 1,175 | ▲3 |
스팀 | 184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5,180,000 | ▲170,000 |
비트코인캐시 | 840,000 | ▼2,000 |
이더리움 | 6,010,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660 | ▼130 |
리플 | 4,031 | ▲9 |
퀀텀 | 3,740 | ▲2 |
이오타 | 260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