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안재민 기자]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경기 이천시)은 30일 주 52시간 이상 근로가 가능한 특례업종의 범주에 IT산업 등을 포함한 연구개발업을 추가하는 ‘근로기준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현행 ‘근로기준법’상 주 52시간 이상 근로가 가능한 특례업종은 ▲육상운송업 ▲수상운송업 ▲항공운송업 ▲기타 운송관련 서비스업 ▲보건업 5개 업종으로, 연구개발업의 경우 특례업종에 속해있다가 2019년 7월 1일 시행된 근로기준법에서는 21개의 특례제외업종으로 분류되어 현재 주 52시간 근로시간 한도 적용대상이다.
또한 상시 5인 이상 사업장도 지난 7월 1일부터 주 52시간 근로시간 한도가 적용되어 연구개발업종의 경쟁력에 경고등이 켜졌다는 지적이다.
연구개발업의 경우 프로젝트 업무가 많아 단기간 집중 근로가 필요한 업종임에도 불구하고, 주 52시간의 장벽에 막혀 성과 창출이 어려웠다. 이로 인해 IT산업을 포함한 연구개발업종이 급변하는 세계 추세에 효율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채 점차적으로 경쟁력이 후퇴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송석준 의원은 연장 근로가 필수적인 일부 업체가 ‘5인 미만 규모로 기업 쪼개기’ 후 외주를 주는 형태로 자구책을 마련하는 등 역효과가 속출하고 있어, 주 52시간 특례적용업종에 연구개발업을 추가하는 '근로기준법'을 발의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송 의원의 개정안은 ‘사용자가 근로자대표와 서면으로 합의한 경우에 한해서만 주 52시간 이상 근로가 가능’한 구조로 근로자의 선택권과 과로방지를 위한 안전장치도 마련됐다는 설명이다.
안재민 로이슈 기자 newsahn@hanmail.net
송석준 의원, 연구개발업 52시간 특례 적용 ‘근로기준법’ 개정안 발의
기사입력:2021-07-30 23:24:2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09.52 | ▲13.47 |
코스닥 | 804.40 | ▼2.55 |
코스피200 | 433.37 | ▲2.59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241,000 | ▲78,000 |
비트코인캐시 | 797,000 | ▲6,000 |
이더리움 | 5,303,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840 | ▲120 |
리플 | 4,440 | ▼9 |
퀀텀 | 3,230 | ▲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289,000 | ▲229,000 |
이더리움 | 5,304,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820 | ▲100 |
메탈 | 1,128 | ▲2 |
리스크 | 672 | ▲2 |
리플 | 4,443 | ▼2 |
에이다 | 1,137 | ▲2 |
스팀 | 206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350,000 | ▲150,000 |
비트코인캐시 | 796,500 | ▲6,000 |
이더리움 | 5,305,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31,860 | ▲130 |
리플 | 4,442 | ▼5 |
퀀텀 | 3,246 | 0 |
이오타 | 29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