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영삼 기자] 국토안전관리원(원장 박영수)은 다목적댐 시설물에 대한 정밀안전진단 결과 안전등급이 안동댐과 섬진강댐은 B(양호), 남강댐은 C(보통)로 각각 지정됐다고 13일 밝혔다.
안전등급 B는 “보조부재에 경미한 결함이 발생하였으나 시설물 기능 발휘에는 지장이 없으며, 내구성 증진을 위해 일부 보수가 필요한 상태”를 의미한다. C등급은 “전체적인 시설물의 안전에는 지장이 없으나 주요부재의 내구성과 기능성 저하 방지를 위한 보수가 필요하거나 보조부재에 간단한 보강이 필요한 상태”를 뜻한다.
이들 3개 댐 시설물은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시설물안전법)에 따른 제1종 시설물로, 국토안전관리원의 정밀안전진단 전담시설물로 고시돼 있다. 제1종 시설물은 안전등급에 따라 정기적으로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해야 하는데, 안전등급별 진단주기는 A등급(우수)은 6년, B등급(양호)과 C등급(보통)은 5년, D등급(미흡)과 E등급(불량)은 4년으로 각각 규정되어 있다.
경북 안동시에 위치한 안동댐과 전북 임실군의 섬진강댐은 발전·용수 공급·홍수 조절 등을 목적으로 각각 1977년과 1965년에 건설된 다목적댐이다. 두 댐 모두 2000년에 처음으로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했으며, 이번의 다섯 번째 정밀안전진단에서 나란히 B등급을 받았다.
경남 진주시에 있는 남강댐도 같은 목적으로 1999년에 건설되었으며 이번의 세 번째 정밀안전진단에서 C등급을 받았다.
박영수 원장은 “국민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댐을 포함한 국가 주요 시설물 안전 확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김영삼 로이슈(lawissue) 기자 yskim@lawissue.co.kr
국토안전관리원, 다목적댐 정밀안전진단 결과 공개
기사입력:2021-07-13 17:55:2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75.77 | ▼7.46 |
코스닥 | 800.47 | ▲2.77 |
코스피200 | 428.07 | ▼0.3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455,000 | ▲112,000 |
비트코인캐시 | 689,000 | ▲1,000 |
이더리움 | 4,044,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940 | ▼40 |
리플 | 3,836 | ▲19 |
퀀텀 | 3,123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644,000 | ▲211,000 |
이더리움 | 4,048,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960 | 0 |
메탈 | 1,067 | ▲1 |
리스크 | 602 | ▲2 |
리플 | 3,837 | ▲19 |
에이다 | 1,008 | ▲8 |
스팀 | 196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550,000 | ▲150,000 |
비트코인캐시 | 690,000 | ▲2,500 |
이더리움 | 4,047,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950 | ▼30 |
리플 | 3,837 | ▲18 |
퀀텀 | 3,115 | ▼1 |
이오타 | 293 |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