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상가 시장에서 ‘멀티 역세권’이 투자 키포인트(key point)로 꼽히고 있다. 2개 이상의 지하철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멀티역세권은 희소성이 높은데다, 단일역세권 보다 유동인구가 풍부해 상권 발달이 빠르고 임차 수요 확보가 용이해 상대적으로 공실률이 낮기 때문이다.
2개 이상의 노선이 지나는 지하철역은 단일 노선보다 일평균 이용고객이 높은 경우가 많다.
한국철도공사 2020년 수송실적 자료에 따르면 경의중앙선 단일역인 한남역은 일평균 이용고객이 6670명인 반면, 지하철 2·5호선·수인분당선·경의중앙선이 지나는 왕십리역은 2만7786명으로 416% 수준이다. 또 지하철 1호선 중동역은 1만4515명이지만, 지하철 1호선과 서해선을 이용할 수 있는 소사역은 318%에 달하는 4만6214명을 기록하고 있다.
공실률도 지역 평균 보다 낮게 형성돼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2021년 1분기 중대형 상가 공실률 자료를 살펴보면 지하철 5호선과 6호선, 공항철도, 경의중앙선이 지나는 공덕역 상권은 공실률이 5.5%, 2호선과 7호선이 지나는 건대입구역 상권은 4.7%로 서울 평균(8.9%) 보다 낮은 공실률을 보였다. 지하철 1호선과 분당선이 지나는 경기도 수원역 상권의 공실률은 3%로 경기도 평균인 9.9%와 비교해 현저히 낮았다.
뿐만 아니라 멀티 역세권 상가들은 임대료도 단일 역세권에 비해 높게 책정돼 있는 편이다. 지하철 1호선과 서해선이 지나는 소사역 인접 일반 상가의 경우, 전용면적 42㎡가 보증금 4000만원에 월세 260만원 선(네이버 부동산 기준)으로 매물이 나온 반면 지하철 1호선 부천역 역세권에 위치한 일반 상가는 1층 전용면적 50㎡가 보증금 2000만원에 월세 110만원 선이다.
업계 전문가는 “멀티 역세권에 들어서는 상업시설은 이미 오래전부터 분양시장에서 스테디셀러로 자리하고 있다”며 “코로나19 장기화로 상가 시장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풍부한 수요가 뒷받침돼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멀티 역세권 상가에 대한 관심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분양시장에서 멀티 역세권 상가들은 선전하고 있다. 지난해 5월 서울 동대문구에서 분양한 ‘힐스테이트 청량리 더퍼스트’ 단지 내 상업시설은 청량리역 역세권 단지로 인기를 끌며 계약 반나절만에 완판했다. 청량리역은 서울 지하철 1호선을 비롯해 경의중앙선·경춘선·수인분당선 등 4개 노선이 지난다. 지난해 12월 서울 구로구에서 공급한 ‘힐스 에비뉴 신도림역 센트럴’도 지하철 1,2호선 신도림역 역세권 상가라는 점이 부각되며 5일 만에 계약을 모두 완료했다.
올 하반기에도 전국 곳곳에서 멀티 역세권 상가들이 공급돼 눈길을 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7월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에서 ‘힐스 에비뉴 소사역’ 상업시설을 분양할 예정이다. 연면적 약 2만8000여㎡에 지하 1층~지상 3층, 238실 규모로 구성된다. 해당 상업시설은 지하철 1호선과 서해선을 이용할 수 있는 소사역이 단지 바로 앞에 위치해 있으며, 소사역 4번 출구에서부터 이어지는 연결 보행 통로를 설치해 고객 유입률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 또 ‘힐스테이트 소사역’ 아파트 629세대와 반경 1km 이내 9천여세대의 배후 거주수요까지 품고 있어 빠른 상권 활성화를 기대해볼 수 있다.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에 들어서는 ‘동대구역 우방 아이유쉘’ 단지 내 상가는 7월 공개입찰을 진행할 예정이다. 전용면적 34~84㎡ 규모의 31개 점포가 공급된다. KTX와 도시철도 1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동대구역 역세권 상가이며, 3면이 도로변에 노출된 스트리트형 상가로 전체 구성을 1층 개방형으로 조성해 가시성을 확보했다.
서울시 도봉구 창동에서는 ‘아레나 X 스퀘어’가 분양 중이다. 창동민자역사 복합개발사업으로 지하 2층~지상 10층, 연면적 약 8만7293㎡ 규모에 복합 쇼핑몰 ‘아레나 X 스퀘어’와 환승센터, 역무시설이 함께 조성된다. 지하철 1호선과 4호선이 지나는 창동역이 가깝게 위치해 있으며, GTX-C노선까지 계획도 있어 향후 접근성은 더욱 좋아질 전망이다. 단지의 지상 4층에는 디오트 매장이 입점할 예정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문화∙편의시설 등이 조성될 예정이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노선에 노선을 더하니 유동인구도 ‘더블’…‘멀티 역세권’ 눈길
단일 역세권 보다 유동인구 풍부해 빠른 상권 활성화 기대상권 공실률은 상대적으로 낮은데 임대료는 더 높게 책정 기사입력:2021-07-07 14:25:4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81.44 | ▼28.42 |
코스닥 | 800.43 | ▲2.41 |
코스피200 | 429.79 | ▼4.1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5,420,000 | ▲608,000 |
비트코인캐시 | 770,000 | ▲3,000 |
이더리움 | 6,285,000 | ▲124,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450 | ▲450 |
리플 | 4,083 | ▲25 |
퀀텀 | 4,056 | ▼4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5,400,000 | ▲601,000 |
이더리움 | 6,290,000 | ▲131,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490 | ▲480 |
메탈 | 990 | ▲15 |
리스크 | 532 | ▲8 |
리플 | 4,084 | ▲24 |
에이다 | 1,193 | ▲14 |
스팀 | 181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5,460,000 | ▲540,000 |
비트코인캐시 | 771,500 | ▲3,500 |
이더리움 | 6,285,000 | ▲12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410 | ▲460 |
리플 | 4,084 | ▲27 |
퀀텀 | 4,064 | ▼28 |
이오타 | 271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