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기존 주택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2Bay나 3Bay 평면을 대신해 최근 수년간 보편화된 4Bay 평면이 집값 상승의 효자 노릇을 하고 있다.
일례로 서울시 은평구 ‘북한산 힐스테이트 7차’ 단지의 실거래가를 살펴보니 4Bay 구조인 110B타입이 올해 5월 12억2000만원에 거래된 반면, 이보다 한달 앞서 거래된 2Bay 평면의 109E타입은 11억5000만원, 지난 3월 거래된 3Bay 평면의 109A타입은 11억7000만원보다 비쌌다.
서울시 마포구 ‘래미안웰스트림’ 단지도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전용면적 114㎡ 타입의 경우 3Bay와 4Bay 평면 차이에 따라 가격에도 1억8000만원 가량 차이가 난 것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따르면 3Bay가 적용된 114B㎡는 지난해 7월 18억4700만원에 실거래 됐고, 4Bay 평면의 114A㎡는 같은 해 9월 20억3000만원에 손바뀜 됐다. Bay가 집값을 더 올렸다는 방증인 셈이다.
Bay는 아파트 전면부에 배치된 거실 및 방의 개수다. 거실과 방 1개가 전면부에 접하면 2Bay, 거실과 방 2개가 접하면 3Bay가 되는 식이다. 4Bay는 거실과 방 3개, 총 4개의 공간이 전면부에 접한다는 의미다.
1기 신도기 개발이 시작된 9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까지 아파트 분양시장에서는 2Bay, 3bay 평면이 대세였다. 용적률과 건폐율에 대한 개념이 거의 없던 시절이었고, 한정된 공간에 더 많은 입주민을 수용하기 위해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다는 게 통상적인 견해다.
그러나 공급이 늘면서 주택수가 모자라지 않은 상황이 되자 주거품질에 대한 고민이 건설업계와 소비자들 사이에서 공통적인 화두로 자리잡았다. 채광과 통풍 효율, 이사할 때의 편리함, 공간활용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많은 4Bay 평면 공급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시점이 2010년대 초반이다.
4Bay 평면은 2Bay나 3Bay에 비해 채광과 통풍 효율이 우수하기 때문에 냉난방비 절감에 유리하고 확장 시 서비스 면적이 더 많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한정된 공간을 세분화 함으로써 각 Bay별 공간이 좁아진다는 단점도 있다. 때문에 4Bay 평면공급이 시작된 초기에 분양된 일부 아파트는 공간 활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경우가 있었다.
이런 가운데 최근 공급되는 신규 아파트는 이런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극대화해 주거 편의성을 지속적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드레스룸과 전용 욕실이 겸비된 넉넉한 크기의 안방, 더 넓은 폭의 거실을 적용하면서 나머지 방 2개 사이에 가변형 벽체를 세워 공간을 넓게 쓰거나 분리해서 쓸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그렇다.
국내 주요 건설사들 역시 소비자 니즈를 잘 알고 있는 만큼 4Bay 평면의 진화와 함께 5Bay, 5.5Bay, 6Bay 평면구조를 잇달아 선보이고 있다. 나아가 아파트 전면에만 머물렀던 개방구조를 2면 이상으로 늘려, 더 높은 채광·통풍 효율을 노리는 평면 역시 등장빈도가 잦아지고 있는 추세다.
업계 관계자는 “집의 개념이 달라지면서 아파트에서의 ‘Bay’는 기존의 향이나 로얄층처럼 집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자리잡고 있는 단계다”며 “소비자 입장에서는 보편화된 4Bay 평면이나 향후 본격적으로 공급될 5~6Bay 평면 중 본인에게 유리한 구조가 어떤 것인지를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아파트 선택, ‘향·로열층’에서 이제는 ‘Bay’로 이어가
기사입력:2021-07-05 15:23:0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81.55 | ▼28.31 |
코스닥 | 801.25 | ▲3.23 |
코스피200 | 429.84 | ▼4.0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5,423,000 | ▼4,000 |
비트코인캐시 | 762,000 | ▼7,000 |
이더리움 | 6,263,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190 | ▲80 |
리플 | 4,109 | ▲16 |
퀀텀 | 4,058 | ▼5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5,503,000 | ▲5,000 |
이더리움 | 6,261,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230 | ▲70 |
메탈 | 989 | ▼1 |
리스크 | 531 | 0 |
리플 | 4,111 | ▲16 |
에이다 | 1,192 | ▲4 |
스팀 | 181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5,400,000 | ▼60,000 |
비트코인캐시 | 762,000 | ▼7,000 |
이더리움 | 6,260,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170 | ▲80 |
리플 | 4,112 | ▲17 |
퀀텀 | 4,079 | ▼32 |
이오타 | 27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