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울산시자치경찰위원회와 울산경찰청은 지난 5월 12일부터 25일까지 2주 간 ‘자치경찰에게 바란다’라는 주제로 합동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우선으로 요구되는 범죄예방활동으로 범죄예방시설 설치, 순찰강화를 꼽았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올해 7월 자치경찰제 전면 시행에 앞서 지역의 불안요인과 자치경찰이 중점을 둬야 할 활동이 무엇인지 면밀히 분석해서 자치경찰의 목표를 정하는데 활용하기 위해서다.
설문은 코로나19 관련 비대면 방식으로 온라인 설문지(QR코드·URL)를 울산시·산하기관, 울산경찰청·경찰서, 울산대학교 등 기관·단체 누리집에 게시해 진행됐다.
조사 내용은 ▲지역의 전반적인 안전성 ▲치안 불안 요인 ▲생활안전·사회적 약자 보호·교통안전 등 분야별 중점 경찰 활동 ▲자치경찰제도에 대한 기대 효과와 인식 등 총 15개 문항(일부 복수 응답)에 대해 이뤄졌다.
조사 결과 울산시민 총 1,356명(남 514명, 여 842명)이 참여한 가운데 연령은 40대(406명, 29.9%), 성별로는 여성(842명, 62.1%), 지역으로는 남구(674명, 49.7%)의 참여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지역 ‘전반적 안전성’과 관련, ‘대체로 안전하다(안전하다 또는 매우 안전하다)’는 응답이 ▲범죄안전 분야 43.9%(‘불안’14.3%), ▲교통 분야 28.8%(‘불안’ 20.2%), ▲사회적 약자 보호 분야 24.3%(‘불안’ 25.6%) 등으로 나타났다.
시민들의 생활안전을 가장 위협하는 장소로는 ▲주거지역(34.3%) ▲유흥·번화가(30.3%) 등을 우선으로 꼽았다. 주거지역이 높은 것은 1인 여성가구가 늘고 있고, 가정폭력, 성폭력 등 최근 이슈된 사건 사고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사회적 약자 범죄 중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것은 ▲청소년 범죄(30.1%) ▲성범죄(24.8%) ▲아동학대 범죄(24.3%) 등으로 답했고, 교통안전에 대한 위협 요소로는 ▲음주운전(26.0%) ▲과속·신호위반(18.4%) 등의 답변이 많았다.
최우선으로 요구되는 범죄 예방 활동으로는 범죄예방시설(CCTV 등) 설치(39.5%), 순찰 강화(31.3%)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해서는 경찰의 신속한 수사(36.2%), 피해자 보호·지원(27.3%)이 절실한 것으로 조사됐다.
교통약자 보호를 위해서는 어린이·노인 보호구역 내 단속(27.0%) 및 노인시설 보행로 등 안전활동 강화(26.2%)로 응답했다.
응답자들은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으로 ‘지역 맞춤형 치안서비스 제공’ (47.2%)을 가장 크게 기대하고 있으며, 치안 향상에 대한 기대도 ‘대체로 그렇다’(45.2%)고 긍정적으로 답했다.
그러나 자치경찰제도에 대해서는 ‘대체로 모른다’(39.1%)는 응답이 높아 시민들에 대한 제도 홍보가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태근 울산시자치경찰위원장은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민의 의견을 치안정책에 충실히 반영하여 시민이 느끼는 불안요소를 선제적으로 해결하고, 자치경찰제 시행의 주인인 울산시민들의 참여와 소통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했다.
유진규 울산경찰청장은 “자치경찰위원회와 적극 협력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치안활동이 뿌리내리도록 노력하고, 존중과 배려를 바탕으로 울산시민 모두에게 만족과 감동을 안겨주는 울산경찰이 되겠다”고 다짐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울산시자치경찰위원회·울산경찰청, '자치경찰에게 바란다' 합동설문조사 결과 발표
최우선으로 요구되는 범죄예방활동으로 범죄예방시설 설치 39.5%, 순찰강화 31.3% 기사입력:2021-06-14 09:11:1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395.54 | ▲51.34 |
코스닥 | 847.08 | ▲12.32 |
코스피200 | 462.74 | ▲8.7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104,000 | ▲105,000 |
비트코인캐시 | 829,000 | 0 |
이더리움 | 6,431,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370 | ▼110 |
리플 | 4,315 | ▲5 |
퀀텀 | 3,616 | ▲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207,000 | ▲183,000 |
이더리움 | 6,436,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390 | ▼70 |
메탈 | 1,075 | ▼4 |
리스크 | 534 | ▲2 |
리플 | 4,314 | 0 |
에이다 | 1,282 | 0 |
스팀 | 192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140,000 | ▲130,000 |
비트코인캐시 | 829,500 | ▲500 |
이더리움 | 6,435,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360 | ▼100 |
리플 | 4,314 | ▲2 |
퀀텀 | 3,606 | ▲22 |
이오타 | 27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