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영삼 기자] 국토안전관리원(원장 박영수)은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시설물안전법)에 따른 국내 시설물 관련 현황을 종합 정리한 ‘2021년 시설물 통계연보’를 발간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통계연보는 시설물 관리자 및 안전진단 전문기관 등이 시설물안전법에 따라 시설물통합정보관리시스템(FMS)에 제출한 정보를 집계한 것이다. 교량, 터널, 항만, 댐, 건축물, 하천, 상하수도 등 시설물 현황을 비롯해 안전진단 전문기관, 점검진단 대행기관의 수주실적 등을 총정리하고 있다. 관련 항목들은 인포그래픽과 그래프 등으로 시각화하여 쉽게 비교·분석할 수 있게 제작됐다.
올해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0년 12월 말 기준으로 시설물안전법의 대상 시설물은 전년도에 비해 4% 증가한 153,561개소로 집계됐다. 광역지자체 가운데 시설물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도(총 37,931개소. 전체의 24.7%)로 나타났으며 서울특별시(17,910개소, 11.7%), 경상북도(12,463개소, 8.1%), 경상남도(11,492개소, 7.5%), 부산광역시(9,376개소, 6.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통계연보는 시설물 관리자와 관계 행정기관은 물론 일반 국민들도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매년 e-book으로 발간되고 있다. 올해 연보는 국토안전관리원이 운영하는 ‘시설물통합정보관리시스템’과 국토안전관리원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활용할 수 있다.
박영수 원장은 “이번 통계연보가 시설물 안전확보를 위한 자료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시설물 정보 제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영삼 로이슈(lawissue) 기자 yskim@lawissue.co.kr
국토안전관리원, ‘2021년 시설물 통계연보’ 발간
기사입력:2021-05-11 18:16:5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3,953.76 | ▼72.69 |
| 코스닥 | 876.81 | ▼21.36 |
| 코스피200 | 557.98 | ▼10.40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2,951,000 | ▼296,000 |
| 비트코인캐시 | 752,000 | ▼4,500 |
| 이더리움 | 5,150,000 | ▼16,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5,450 | ▼410 |
| 리플 | 3,468 | ▼5 |
| 퀀텀 | 2,930 | ▼2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3,126,000 | ▼155,000 |
| 이더리움 | 5,151,000 | ▼1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5,460 | ▼400 |
| 메탈 | 705 | ▼1 |
| 리스크 | 306 | ▼1 |
| 리플 | 3,473 | 0 |
| 에이다 | 875 | ▲1 |
| 스팀 | 131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3,030,000 | ▼160,000 |
| 비트코인캐시 | 752,000 | ▼1,000 |
| 이더리움 | 5,150,000 | ▼1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5,440 | ▼410 |
| 리플 | 3,469 | ▼4 |
| 퀀텀 | 2,935 | ▼34 |
| 이오타 | 218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