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필수노동자 건강권 보호 위한 맞춤형 건강진단 실시

기사입력:2021-03-29 21:37:47
[로이슈 전여송 기자] 안전보건공단이 필수노동자의 과도한 업무로 인한 과로사 등 업무상 질병 예방을 위한 건강진단 지원에 나선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지원사업은 지난해 12월 정부에서 발표한 필수노동자 보호·지원 대책의 일환으로 실시하는 사업으로서,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 비대면 일상을 유지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택배기사, 배달종사자, 대리운전기사 등 3개 직종 특수형태근로종사자와 환경미화원(20인 미만 사업장)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정부로부터 예산을 지원받아 추진하는 이번 지원사업 규모는 약 6만 명으로 총 33억 5000만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해당 노동자가 건강진단을 받게 되면 공단이 건강진단 비용의 80%를 지원하고, 나머지 20%는 사업주가 부담하게 된다.

지원신청은 29일부터 공단 누리집을 통해서 신청을 받으며,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경우에는 플랫폼 회사나 택배대리점, 배달대행 업체 등 산업안전보건법 상 노무를 제공받는 자가, 환경미화원은 고용관계에 있는 사업주가 하면 된다.

건강진단은 고용노동부로부터 지정받은 특수건강진단기관에서 실시되며, 지역별 특수건강진단기관 현황은 고용노동부 누리집 공지사항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이번 지원의 특징은 최근 과로사, 폐암 등 필수노동자의 사회적 건강 이슈를 반영해 직종별 특성에 맞춘 건강진단이 실시된다는 점이다.

택배기사, 배달종사자, 대리운전기사는 장시간 근로, 야간작업으로 인한 과로사 위험에 따른 뇌심혈관계 중심의 검사가 실시되며, 환경미화원의 경우에는 차량 매연 등 디젤엔진 배출가스로 인한 폐암 발생과 관련한 호흡기계 검사와 무거운 생활폐기물 취급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검사가 실시된다.

건강진단 결과, 과로사 등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정밀건강진단을 추가로 실시하고, 전국 23개 근로자건강센터와 연계해 체계적인 건강관리를 받게 할 예정이다.

한편, 공단은 필수노동자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해 지난 3월 15일부터 택배, 환경미화, 마트 노동자 관련 전국 4600여 개 사업장에 대한 컨설팅 및 보호대 무상지원에도 나서고 있다.

안전보건공단 박두용 이사장은 “코로나19는 우리 사회 유지를 위한 필수노동자의 역할을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는 계기가 됐다”며 “이제는 필수노동자의 헌신에 우리 사회가 보답을 해야 할 때”라며 “공단은 이번 건강진단 지원사업을 계기로 사회적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노동자가 보다 안전하고 건강하게 일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622.99 ▼17.58
코스닥 733.02 ▼6.03
코스피200 349.44 ▼2.3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460,000 ▼357,000
비트코인캐시 557,500 ▼3,500
이더리움 3,637,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7,490 ▼230
리플 3,535 ▼23
이오스 1,090 ▼6
퀀텀 3,440 ▼3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490,000 ▼378,000
이더리움 3,638,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7,500 ▼220
메탈 1,224 ▼8
리스크 777 ▼5
리플 3,535 ▼24
에이다 1,110 ▼6
스팀 22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500,000 ▼250,000
비트코인캐시 556,500 ▼5,500
이더리움 3,635,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7,480 ▼260
리플 3,534 ▼23
퀀텀 3,545 0
이오타 330 ▼3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