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부동산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과 한국산업단지공단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지식산업센터 신설 승인건수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코로나19로 침체된 경기를 부양시키기 위한 저금리 정책과 양적완화로 통화량 증가가 만들어낸 투자열풍이 계속된 데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주거용 부동산에 집중되면서 지식산업센터와 같은 업무용 부동산을 찾는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실제로 지난 5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거래된 업무용 부동산은 총 5242건으로 2019년 대비(3,822건) 37%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지식산업센터는 통화량 증가와 정부의 부동산 규제의 반사이익을 얻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낮은 금리 상황에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량 증가와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주거용 부동산에 치중된 가운데 지식산업센터들은 오히려 세제 혜택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실입주 기업은 취득세 50% 및 재산세 37.5%의 감면을 받을 수 있다”며 “대출이 70~80%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자기자본이 20~30%만으로도 투자가 가능해 실입주 기업수요부터 투자수요까지 늘어나며 이에 따라 공급도 최대치를 기록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처럼 늘어나는 공급량에 지식산업센터의 옥석 가리기가 중요해지고 있다. 건설사들은 저마다 차별화된 특화설계를 선보이는 전략을 펼치고 있으며, 차별화된 설계를 갖춘 지식산업센터들의 경우 성공적으로 분양을 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현대엔지니어링이 지난해 분양한 ‘현대 테라타워 광명’은 지상 3~4층에는 드라이브인 시스템을 도입하고 개별 냉난방 시스템, 휴게공간과 공개공지를 비롯한 커뮤니티를 도입하는 등 차별화된 설계를 바탕으로 완판에 성공했다.
이러한 가운데 특화설계를 갖춘 지식산업센터들이 공급을 알려 주목된다.
우선 이달 디벨로퍼 GL은 경기도 고양시 향동지구에 수도권 서북부 최대규모 드라이브인 지식산업센터 ‘GL 메트로시티 향동’을 3월 공급한다. 한화건설이 시공에 나서는 본 건축물은 지하 4층~지상 14층, 지식산업센터 총 531실과 섹션오피스 60실로 조성된다. GL 메트로시티 향동의 지식산업센터는 6m의 높은 층고를 갖춰 호이스트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건물 한층에 상·하행 각 2개씩 총 4개의 램프를 구성하는 더블Z 드라이브인 시스템을 적용해 효율성을 높였으며, 개러지 하우스 개념이 도입된 전호실 도어 투 도어 시스템을 도입해 호실에서 물류 상·하차도 가능하다.
현대건설은 남양주 별내신도시 도시지원시설용지 15블록에 ‘현대 그리너리 캠퍼스 별가람역’을 공급한다. 지하 2층~지상 15층, 연면적 7만9494㎡ 규모로 들어서는 이 단지는 섹션오피스와 제조형이 같이 구성되며, 차별화된 설계를 갖췄다. 먼저 오피스형 지식산업센터는 더블 로프트인(다락) 설계가 적용되어 폭넓은 공간활용성이 특징이며, 모든 타입에는 빌트인 시스템이 기본으로 적용되어 초기 입주비용 부담을 낮췄다.
모비우스타워PFV㈜는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에 ‘가산 모비우스 타워’를 3월 선보인다. 이 지식산업센터는 지하 4층~지상 20층, 연면적 4만3500㎡ 규모로 들어설 예정이며, 관리비 절감을 고려한 태양광발전 시스템, 퍼스널 모빌리티존, 스카이라운지 등 차별화된 설계를 적용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건설사들, 지식산업센터 증가세에 ‘차별화 설계’로 경쟁력
기사입력:2021-03-15 15:20:0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96.32 | ▲9.16 |
코스닥 | 798.43 | ▼3.29 |
코스피200 | 431.81 | ▲1.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6,450,000 | ▼130,000 |
비트코인캐시 | 771,500 | 0 |
이더리움 | 6,236,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040 | ▼40 |
리플 | 4,133 | ▼19 |
퀀텀 | 3,916 | ▲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6,521,000 | ▼65,000 |
이더리움 | 6,237,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090 | ▲20 |
메탈 | 1,023 | ▼9 |
리스크 | 539 | ▼4 |
리플 | 4,135 | ▼17 |
에이다 | 1,183 | ▼4 |
스팀 | 184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6,460,000 | ▼140,000 |
비트코인캐시 | 769,500 | ▼4,500 |
이더리움 | 6,230,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100 | ▼130 |
리플 | 4,131 | ▼19 |
퀀텀 | 3,933 | ▲28 |
이오타 | 27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