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미래 콘텐츠산업 혁신을 이끌 콘텐츠 창의인재를 양성한다.
2021년에는 콘텐츠업계와 구직자 간 일자리 미스매칭을 해소하기 위해 업계 수요맞춤형 사업을 구성했으며, 신기술 변화에 발맞춰 실감형, 인공지능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에 힘쓸 예정이다. 이에 ▲콘텐츠 창의인재동반사업 ▲콘텐츠 원캠퍼스 구축운영 사업 ▲실감형 콘텐츠 창작자 양성사업을 운영할 총 43개의 기관을 오는 15일까지 모집한다.
‘콘텐츠 창의인재동반사업’은 2012년 시작해 10년차를 맞이한 콘텐츠 인재양성 대표 사업으로, 콘텐츠 분야별 전문가와 예비창작자 간 매칭을 통해 밀착형 도제식 멘토링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청년인재의 창작능력 개발과 콘텐츠산업계 진출을 지원하며, 올해는 총 420여 명의 창의인재를 육성할 계획이다.
이번 모집을 통해 총 17개 내외의 플랫폼기관을 선정, 기관별 최대 5억 4000만원의 지원금을 투입한다. 특히 교육기간 중 창의인재들이 역량 제고에 충분히 힘쓸 수 있도록 창작지원금을 확대하고, 25% 이상의 지역할당을 의무화해 지역 균형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콘텐츠 원캠퍼스(One Campus) 구축운영 사업’은 콘텐츠 분야 융복합 창의인재 양성을 목표로 산·학·연·관이 협력해 프로젝트 기반의 교과운영과 현장실습을 진행한다. 올해는 첨단기술 기반의 콘텐츠·인문·공학·예술·디자인 등 장르를 아우르는 융복합 콘텐츠 창·제작 역량 향상에 초점을 맞춰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했으며, 실무역량 향상을 위해 산학협력 현장실습 과정도 강화에 나선다.
이번 모집에서는 대학(원) 중심의 지역진흥원(광역)·기업·연구기관 등이 협력하는 총 20개 내외의 컨소시엄을 선정하며, 이 중 50% 이상의 지역 소재 대학 쿼터를 배정할 예정이다.
‘실감형 콘텐츠 창작자 양성사업’은 문화콘텐츠 분야와 접목한 실감콘텐츠 창·제작 인재양성을 목표로 지난해 신설됐으며, 콘텐츠산업 환경 변화와 업계 수요에 맞춰 전년 대비 약 10억 원 증액한 총 35억 원 규모로 확대됐다. 이에 올해는 지원규모를 늘려 총 6개 컨소시엄을 선정, 기관별 최대 5억 2000만원을 지원하며, 총 110여 명의 교육생 양성을 이끌 예정이다.
또한 인공지능(AI) 기술을 연계한 프로젝트 기반의 교육사업을 총 35억 원 규모로, 오는 4월 중 신규 추진에 나선다. 이를 통해 콘진원은 콘텐츠산업계 현업인과 예비인재들이 인공지능 콘텐츠 분야로 직무전환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디지털 전환의 계기로 삼을 예정이다.
콘진원 기업인재양성본부 박경자 본부장은 “창작자는 미래 콘텐츠산업 성장의 촉매 역할을 톡톡히 할 것”이라며 “지역인재도 진입장벽 없이 콘텐츠 창작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하고, 교육 이후에도 후속지원을 통해 우수한 콘텐츠를 창출하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보다 자세한 내용과 신청방법은 콘진원 누리집 및 e나라도움에 게시된 공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사업신청을 원할 경우 참가자격과 신청서류를 갖춰 오는 15일까지 e나라도움을 통해 접수하면 된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콘진원, 미래 콘텐츠산업 견인할 인재양성 적극 추진
기사입력:2021-03-08 22:21:3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92.29 | ▲5.91 |
코스닥 | 818.27 | ▲6.04 |
코스피200 | 431.64 | ▲0.48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960,000 | ▲328,000 |
비트코인캐시 | 675,000 | ▼1,000 |
이더리움 | 4,661,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130 | ▲50 |
리플 | 4,428 | ▲24 |
퀀텀 | 3,188 | ▼1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645,000 | ▲122,000 |
이더리움 | 4,656,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080 | ▼20 |
메탈 | 1,091 | ▼8 |
리스크 | 628 | ▼3 |
리플 | 4,427 | ▲27 |
에이다 | 1,093 | 0 |
스팀 | 202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960,000 | ▲300,000 |
비트코인캐시 | 675,000 | ▼1,000 |
이더리움 | 4,661,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140 | ▼30 |
리플 | 4,429 | ▲22 |
퀀텀 | 3,190 | 0 |
이오타 | 307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