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대기중금속, 환경기준치 이하로 안전

기사입력:2021-01-31 11:32:41
국내 7대 대도시 2020년 대기중금속 농도.(제공=부산시)

국내 7대 대도시 2020년 대기중금속 농도.(제공=부산시)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용모 기자] 부산시(시장 권한대행 이병진) 보건환경연구원은 현재 운영 중인 5개 대기중금속측정망의 미세먼지(PM-10) 중에 포함된 12개 중금속의 농도를 매월 분석한 결과, 환경기준치 이하로 ‘안전’하다고 31일 밝혔다.

보건환경연구원의 대기중금속 조사는 2013년부터 주거지역 3곳, 상업지역 1곳, 공업지역 1곳에서 이뤄지고 있다.

국내 대기 환경기준이 설정되어있는 납의 경우 2020년 연평균 농도가 0.0146㎍/m3로 대기 환경기준(0.5㎍/m3 이하)의 약 3% 수준이었으며, 카드뮴과 망간의 경우도 각각 0.0005㎍/m3, 0.0278㎍/m3로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0.005㎍/m3, 0.15㎍/m3 이하)보다 훨씬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금속 성분별로는 철(Fe), 칼슘(Ca),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등 지각 유래 성분이 94.8%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기타 미량중금속이 5.2%다. 특히, 지각 유래 금속의 경우 황사의 영향으로 4월에 최고 농도를 나타냈다.

지점별로는 공업지역인 학장동 측정소의 중금속 평균농도가 상업지역인 연산동이나 주거지역인 덕천동, 광안동, 부곡동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학장동 일대에 밀집해 있는 40여 개의 크롬, 니켈 등 영세 도금업체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됐다. 이 지역의 크롬과 니켈 농도는 주거나 상업지역보다 8~10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타 시·도와 비교한 결과에서도 지각 유래 일반금속의 경우에는 낮거나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공업지역 크롬과 니켈의 평균농도는 서울을 비롯한 국내 다른 광역시·도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보건환경연구원이 최근 5년간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공업지역 크롬과 니켈 농도는 대체로 감소추세이며, 발암 위해도 및 독성을 평가한 결과 미국 환경청이 정한 수준보다 훨씬 낮아 주민 건강을 우려할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파악했다.

정영란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우리 원은 시민이 숨쉬기 좋은 대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꼼꼼하게 감시하고 있으며, 관련 부서와 협력해 공업지역 유해 중금속 수준을 낮추어 공기 질에 대한 시민의 우려를 해소하고자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2.35 ▲29.42
코스닥 794.00 ▲9.00
코스피200 428.15 ▲4.8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3,650,000 ▼124,000
비트코인캐시 796,000 ▲2,000
이더리움 6,118,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8,920 0
리플 3,911 ▼4
퀀텀 3,662 ▲1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3,580,000 ▼286,000
이더리움 6,114,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8,910 ▼20
메탈 989 ▲9
리스크 516 ▲2
리플 3,908 ▼4
에이다 1,141 ▼5
스팀 18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3,600,000 ▼240,000
비트코인캐시 796,500 ▲2,000
이더리움 6,115,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8,890 ▲40
리플 3,912 0
퀀텀 3,662 ▲17
이오타 261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