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환경부는 인도네시아 수도인 자카르타와 인근 지역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2000억 원 규모의 까리안 광역상수도 국제경쟁입찰사업을 한국수자원공사 컨소시엄이 현지 기업과의 경쟁 끝에 지난 5일 최종 수주했다고 8일 밝혔다.
까리안 광역상수도 사업은 2015년 6월에 착공해 내년 하반기에 준공될 예정인 자카르타로부터 약 50km 거리에 있는 까리안 댐을 수원으로 하여 자카르타주, 땅그랑시, 남땅그랑시 3개 지자체에 하루 약 40만 톤의 수돗물을 공급하는 사업이다.
우리 정부는 한국의 물관리 정책과 기술 전파를 위해 인도네시아 정부와 지속적으로 교류해 왔으며, 지난 2017년 11월 한-인니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국수자원공사가 본 광역상수도 사업을 인도네시아 정부에 제안해 사업화하게 됐다.
정부간 협력을 토대로 물관리 전문 공공기관이 사업을 제안해 수주하고,도 향후 설계 및 시공에 국내 기업이 참여하는 ‘물산업 팀 코리아’ 해외진출의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사업비 조달에도 우리나라의 여러 개발금융 지원자금을 활용했다. 까리안 댐 건설 및 댐에서 정수장까지의 관로 설치(내년 착공 예정)는 한국수출입은행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등 우리 정부의 금융 지원으로 진행 중이며, 이번에 수주한 사업인 정수장 및 정수장에서 각 지자체까지의 관로 건설과 운영관리는 민관합작투자(PPP) 사업으로 진행된다.
또한 한국판 광역상수도를 해외에 수출한 최초 사례로, 우리 정부가 오랜 기간 심혈을 기울인 해외진출 사업의 본보기가 이번 사업 최종 수주를 통해 그 결실을 맺은 것. 이를 통해 설계, 건설 및 기자재·부품 등 다양한 부문의 신남방 물 시장 진출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부는 그간 신남방 국가를 대상으로 한 물산업 진출 확대를 위해 ▲맞춤형 접근 ▲팀 코리아 진출 ▲한국판 그린·디지털 뉴딜 확산이라는 3대 정책방향을 설정해 추진해 왔다.
‘맞춤형 접근’을 위해서는 국가별로 상이한 물 관련 현안 및 협력 수요를 감안하여 다양한 협력을 추진해 왔다.
정부간 교류 및 국제기구 활동을 토대로 협력사업을 도출하고, 맞춤형 무상원조 사업을 활용하여 후속 사업을 지속적으로 개발했으며, 국제 물 교육을 제공하여 우리 물 관리 정책과 기술을 널리 알려왔다.
‘팀 코리아 진출’ 확대를 위해서는 정부 및 공공기관, 민간기업과 전문가를 한 팀으로 구성하여 대규모 사업 수주를 위해 협력하는 ‘물산업 팀 코리아’를 구성하는 한편, 사업 단계별 정부 지원제도를 기획하고 운영하여 ‘일괄(원스톱) 물산업 해외진출 지원체계’를 확립했다.
‘한국판 그린·디지털 뉴딜 확산’을 위해서는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의 스마트 물 기반시설 및 수재해 예방·대응체계 구축을 통해 현지 생활환경 개선에 기여하고, 수력·수상태양광 등 저탄소 에너지 기술 전수로 신남방 지역의 녹색전환 실현에 힘써왔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이번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통해 우리나라 물 기술을 토대로 현지 물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한편, 물산업 신남방 시장 진출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라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수자원공사, ‘인도네시아 까리안 광역상수도 사업’ 최종 수주
기사입력:2021-01-08 17:37:0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92.29 | ▲5.91 |
코스닥 | 818.27 | ▲6.04 |
코스피200 | 431.64 | ▲0.48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012,000 | ▼513,000 |
비트코인캐시 | 683,000 | ▲3,500 |
이더리움 | 4,745,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600 | ▲100 |
리플 | 4,779 | ▲39 |
퀀텀 | 3,212 | ▲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774,000 | ▼595,000 |
이더리움 | 4,733,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500 | ▲30 |
메탈 | 1,099 | ▲2 |
리스크 | 631 | ▲1 |
리플 | 4,769 | ▲39 |
에이다 | 1,134 | ▲16 |
스팀 | 204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910,000 | ▼510,000 |
비트코인캐시 | 683,500 | ▲5,500 |
이더리움 | 4,744,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560 | ▲80 |
리플 | 4,774 | ▲43 |
퀀텀 | 3,147 | ▲10 |
이오타 | 332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