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수자원공사는 코로나 19 이후 침체된 중소기업 및 지역기업 지원 강화와 공정경제 실현 등 중소기업과의 포용적 성장관계 구축을 위해 입찰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했다고 28일 밝혔다.
먼저, 대형사의 수주독점 해소를 위해 공공부문 최초로 대형사 간 공동도급 비중 상한을 설정하고, 25억 미만의 소규모 사업 경우 대형사 간 공동도급을 허용하지 않았다.
또한 대형사가 낙찰받아 중소기업과 지역기업에 저가 하도급으로 이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사업규모가 큰 종합심사낙찰제 평가 시, 중소기업 및 지역기업의 공동도급 지분율을 각각 40%, 30%로 제안했다.
더불어, 실적 및 참여기술자 범위를 유사 전문분야까지 확대하여 실적 및 기술자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지역기업의 입찰참가 문턱을 크게 낮췄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이 같은 제도 개선을 바탕으로 총사업비 725억 원 규모의 ’2020년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 기본 및 실시 설계용역‘ 19개 사업의 계약체결을 올해 10월 완료했다.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은 수돗물 누수를 줄이고, 먹는 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전국의 노후 상수도 관로 및 정수장을 전면적으로 교체 또는 개선하는 사업이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전체 132개 사업 중 72개 사업을 지자체로부터 수탁해 수행하고 있다.
개선된 입찰제도로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의 19개 사업에 대한 입찰을 추진한 결과, 중소기업의 사업수주 비중이 과거 20~35% 수준에서 53%(사업비 387억 원)까지 상향됐고, 낙찰받은 중소기업도 과거 5~6개 수준에서 22개 기업으로 약 3배 이상 증가했다.
지역기업 역시 수주비중이 기존 13%에서 30%로 높아지고 낙찰 기업도 과거 3개에서 17개 기업으로 증가했다.
올해 처음으로 낙찰받은 한 중소기업의 관계자는 “그동안 대형사에 유리한 입찰제도로 중소기업의 수주가 매우 제한적이었으나 이번 입찰제도 개선으로 중소기업 참여여건이 많이 개선되었고, 중소 기업의 기술력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이 같은 혁신적인 입찰 제도개선을 통해 코로나 위기에 취약한 중소·지역기업의 수주확대로 매출 증대 및 일자리 창출은 물론 기술력 향상으로 이어져 건설 및 엔지니어링 업계의 선순환체계 구축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동 입찰제도를 광역상수도, 수자원, 수변 사업까지 확대적용했다. 또한 입찰제도 뿐만 아니라 건설관리, 하도급·산업안전, 소비자 보호등 물관리 전 분야에 걸쳐 사내 전담반(TF)을 구성하여 공정문화 확산에 힘쓰고 있다.
박재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코로나 19로 전국민이 어려운 시기에 공기업으로서 과감한 규제·관행 혁신을 지속 추진해 중소기업 및 지역경제의 위기극복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수자원공사, 입찰제도 개선으로 중소·지역기업 수주비중 50% 이상 확대
기사입력:2020-10-28 23:11:2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3,953.76 | ▼72.69 |
| 코스닥 | 876.81 | ▼21.36 |
| 코스피200 | 557.98 | ▼10.40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0,461,000 | ▲1,303,000 |
| 비트코인캐시 | 716,000 | ▲6,500 |
| 이더리움 | 4,861,000 | ▲47,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330 | ▲440 |
| 리플 | 3,281 | ▲42 |
| 퀀텀 | 2,705 | ▲63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0,486,000 | ▲1,325,000 |
| 이더리움 | 4,861,000 | ▲47,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340 | ▲430 |
| 메탈 | 647 | ▲9 |
| 리스크 | 281 | ▲4 |
| 리플 | 3,281 | ▲40 |
| 에이다 | 792 | ▲10 |
| 스팀 | 118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0,550,000 | ▲1,390,000 |
| 비트코인캐시 | 716,000 | ▲6,500 |
| 이더리움 | 4,858,000 | ▲4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340 | ▲370 |
| 리플 | 3,282 | ▲42 |
| 퀀텀 | 2,668 | ▼13 |
| 이오타 | 190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