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틀뱅크, 한국농어촌공사와 PG 결제 서비스 구축

기사입력:2020-10-12 14:24:10
[로이슈 편도욱 기자] 핀테크 기업 세틀뱅크(대표이사 이경민·최종원)가 한국농어촌공사와 함께 농업인들의 편의 개선과 디지털 전환을 위해 전자지급결제(PG:Payment Gateway) 서비스를 시작한다.

한국농어촌공사는 농지공간포털(njy.mafra.go.kr) 내 온라인 납부 시스템에 세틀뱅크의 PG결제를 서비스함으로써 납부부터 확인서 발급까지 원스톱 서비스 채널을 구축하는 등 이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하고 납부율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주택이나 공장 등을 짓기 위해 농지를 전용할 때 부과되는 ‘농지보전부담금’은 연간 1조원 이상의 거래가 발생하고 있으나, 그 동안 부과 대상자가 신고 후 고지서를 받으면 금융결제원의 인터넷 지로를 통해 납부하는 방식으로 불편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 납부 가능한 신용카드도 2종류의 카드로 한정되는 등 결제 방식의 개선이 필요했다.

세틀뱅크는 BC카드, 삼성카드 등과 제휴해 농지보전부담금 전용 일반 가맹점을 대상으로 매입 및 정산이 편리한 PG 결제 방식을 제공하며, BC카드, 삼성카드는 최장 6개월 무이자 할부 및 장기 부문 무이자 할부 서비스(고객 부담)도 제공하는 등 이용자가 원하는 결제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더욱이 삼성카드는 오픈과 더불어 오는 10월 31일까지 고객에게 1% 적립 이벤트도 진행 예정이다.

세틀뱅크는 "최근 소비활동이 온라인으로 옮겨감에 따라 비대면이 가능한 온라인 결제가 급증하고 있으며, 세금 납부 등 공공영역에서도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세틀뱅크는 농지보전부담금 납부에 사용 가능한 카드 제휴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이용자가 전국 어디에서든 편리한 금융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PG시장은 최근 온라인 소비 규모가 늘어나고, 오프라인 상점에서도 모바일로 결제하는 서비스가 생겨나며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비대면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전자지급서비스 이용 현황' 통계에 따르면 전자지급결제대행서비스(PG)의 일평균 이용 건수와 금액은 1,204만 건, 5,467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39.3%, 26.2% 크게 증가했다.

이에 세틀뱅크는 주요 서비스인 가상계좌서비스, 간편현금결제, 펌뱅킹, PG, G-뱅킹을 비롯하여 최근 자사 간편 결제 서비스를 중심으로 PG 사업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44.20 ▲29.67
코스닥 834.76 ▲1.76
코스피200 454.00 ▲3.9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100,000 ▲755,000
비트코인캐시 830,000 ▲10,000
이더리움 6,187,000 ▲32,000
이더리움클래식 29,770 ▲230
리플 4,210 ▲13
퀀텀 3,620 ▲1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37,000 ▲698,000
이더리움 6,182,000 ▲31,000
이더리움클래식 29,740 ▲210
메탈 1,003 ▲1
리스크 521 0
리플 4,209 ▲12
에이다 1,239 ▲10
스팀 18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80,000 ▲680,000
비트코인캐시 830,000 ▲9,500
이더리움 6,180,000 ▲30,000
이더리움클래식 29,750 ▲180
리플 4,207 ▲10
퀀텀 3,630 ▲6
이오타 272 ▲4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