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터카, 리콜 제때 안하면 대여 못해

8일부터 ‘여객자동차우수사업법’ 개정 시행
시행전 전 결함차량, 내년 8일 안에 리콜해야
기사입력:2020-10-06 12:29:13
(좌측부터)코나 일렉트릭, 볼트EV, 모델S 90D, 아이오닉 일렉트릭.(사진=롯데렌터카)

(좌측부터)코나 일렉트릭, 볼트EV, 모델S 90D, 아이오닉 일렉트릭.(사진=롯데렌터카)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최영록 기자] 앞으로 렌터카 업체들은 리콜을 제때 받지 않은 차량에 대해서는 대여를 하지 못하게 된다.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지난 4월 대여사업용 자동차의 안전성 확보 및 사고예방을 위해 이같은 내용을 담아 개정된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이 오는 8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동차관리법’ 제31조에 따라 대여사업용 자동차의 결함 사실이 공개된 경우 자동차대여사업자는 시정조치(리콜)를 받지 않은 차량을 신규로 대여할 수 없다.

또 결함 공개 당시 이미 대여 중인 경우에는 30일 이내에 우편 또는 휴대전화를 이용한 문자메시지로 차량의 임차인에게 결함 사실을 통보해야 한다.

이달 8일 이전에 결함 사실이 공개된 대여사업용 자동차를 보유한 대여업자의 경우 3개월의 유예기간을 줘 내년 1월 8일 이내에 시정조치를 받아야 한다. 또 현재 대여 중이라면 결함 사실을 차량의 임차인에게 지체 없이 통보해야 한다.

만약 대여업자가 결함차량을 신규로 대여하거나 차량의 임차인에게 결함 사실을 통보하지 않았다면 사업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받게 된다.

국토부는 제도 도입 초기 대여사업용 자동차의 신속한 리콜통지 및 결함 시정을 위해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에서 결함 사실 통지 시 대여사업자의 동의가 있는 경우 ‘한국렌터카사업조합연합회’에게도 결함 내용을 통보토록 했다. 연합회도 소비자가 안전한 차를 탈 수 있도록 회원사의 조속한 시정조치를 독려할 예정이다.

국토부 윤진환 자동차관리관은 “자동차도 소유의 시대에서 공유의 시대로 가고 있는 추세에서 이번에 시행되는 대여자동차 안전사고 예방 조치가 도로교통의 안전성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자동차 안전을 위해서 리콜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95.54 ▲51.34
코스닥 847.08 ▲12.32
코스피200 462.74 ▲8.74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514,000 ▼217,000
비트코인캐시 823,500 ▼2,500
이더리움 6,467,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30,340 ▼160
리플 4,312 ▼3
퀀텀 3,605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553,000 ▼162,000
이더리움 6,474,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30,320 ▼140
메탈 1,056 ▼2
리스크 543 ▲1
리플 4,311 ▼2
에이다 1,278 ▼4
스팀 191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550,000 ▼270,000
비트코인캐시 822,500 ▼3,500
이더리움 6,470,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30,320 ▼130
리플 4,312 ▼3
퀀텀 3,589 ▼74
이오타 279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