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리버리, 선천적 유전질환 - 비대성 심근증 치료신약 다케다에 최종 물질이전​

기사입력:2020-09-01 12:18:50
[로이슈 편도욱 기자] ㈜셀리버리는 다케다와 공동으로 진행하는 '프리드리히 운동실조증 (Friedreich Ataxia: FRDA) 치료 신약후보물질 개발' 프로젝트의 최종 마일스톤 3단계인 비대성 심근증 (hypertrophic cardiomyopathy) 질환동물모델에서의 치료효능 평가를 위해 셀리버리가 개발한 세포/조직투과성 FXN 단백질 (CP-FXN)을 물질이전계약 (MTA)에 의거 다케다 쇼난 연구소에 최종 전달했다고 31일 밝혔다.

에너지 합성에 관여하는 FXN 단백질이 뇌 신경세포에 결핍되면 운동실조증 (Ataxia)이 발병하고 심장 근육세포에 부족하면 비대성 심근증을 일으켜 조기 사망 (평균 수명의 ~15%)에 이르게 하는 무서운 선천적 유전병이 프리드리히 운동실조증이다. 이에 세계 10위권 제약사인 다케다의 요청에 의해 ㈜셀리버리의 원천기술인 약리물질 생체 내 전송기술 TSDT 플랫폼을 적용하여 세포/조직투과성 CP-FXN이 개발됐다. 현재, 운동실조증 또는 비대성 심근증을 않는 FRDA 환자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부족한 FXN 단백질을 뇌 또는 심장 세포 내로 직접 보충하는 것만이 유일한 근본적 치료법이다.

이번 치료효능 평가시험은 ㈜셀리버리-다케다 공동개발 프로젝트의 최종 마일스톤 3단계 실험으로 FRDA의 주된 사망원인인 비대성 심근증 및 심부전 질환동물모델을 대상으로 동물의 생존기간 연장 및 심장기능 회복 등의 항목을 평가하게 되는데, 현재 이미 8주째 진행중이며 CP-FXN을 이 질환동물에게 즉시 투여하여 치료효능을 평가하게 된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16.27 ▲41.21
코스닥 793.33 ▲11.16
코스피200 420.94 ▲6.51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365,000 ▲66,000
비트코인캐시 690,000 ▲5,000
이더리움 3,524,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3,320 ▲10
리플 3,078 ▲1
퀀텀 2,798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416,000 ▲118,000
이더리움 3,525,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3,330 ▲20
메탈 946 ▼3
리스크 539 ▲0
리플 3,079 ▲2
에이다 821 ▲9
스팀 18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640,000 ▲220,000
비트코인캐시 692,000 ▲6,500
이더리움 3,529,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3,360 ▼10
리플 3,083 ▲3
퀀텀 2,793 ▼8
이오타 227 ▲1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