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경상남도(도지사 김경수)가 4월 23일 첫 지급을 시작한 ‘경상남도 긴급재난지원금’이 5월 13일부터 시작된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과 함께 코로나19이후 얼어붙은 소비심리를 녹이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5월말 기준 지원대상인 64만8천 가구의 약 91.7%인 59만4천 가구에 경남형 긴급재난지원금이 지급됐으며, 총 지급액은 1793억 원이다.
선불형 BC카드로 지급된 1793억 원의 82.5%인 1480억 원이 시장에 풀렸다.
평일 하루 평균 약 41억 원, 주말 하루 평균 약 31억 원으로 지난 4월 23일부터 5월 31일까지 하루에 약 38억 원이 소비된 것이다.
업종별로는 △편의점·슈퍼마켓 등이 23.7%(350억200만원) △일반음식 18.9%(279억1800만원) △농축협매장 15.0%(221억4400만원) △음식료품 10.7%(158억9100만원) △의료기관 7.3%(107억6600만원) 순이며, 실생활과 밀접한 업종에서 주로 소비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경남도에서는 올해 4월 6일부터 도내 BC카드 매출액을 분석했는데, 3주차(4.20.~4.26.)부터 8주차(5.25.~5.31.)까지의 BC카드 총 매출액은 1조1173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매출액 8834억 원에 비해 2339억 원이 증가했다.
긴급재난지원금이 지급되기 전에는 전년 동기 대비 약 10% 이상 (1주차 12.5% 감소, 2주차 10.3% 감소) 매출액이 적었다.
매출액 분석에 따르면 경남형 긴급재난지원금이 지원된 3주차(4.20.~4.26.)부터 매출액이 증가했고,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상승세(1.5% 증가)로 돌아섰다.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이 본격적으로 지원되기 시작한 7주차에는 전년 동기 대비 774억 원(52.0% 증가), 8주차에는 717억 원(49.7% 증가)까지 증가했다.
경남형 긴급재난지원금과 정부 긴급재난지원금이 실제 소비 증가로 이어져 긴급재난지원금의 목적 중 하나였던 소비 진작의 효과가 눈으로 확인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8주차 기준(5.25.~5.31.) 유흥업과 여행업 등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 업종에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100% 이상 증가한 업종은 농업업종 237.6%, 의류 및 직물 업종 201.1%, 농축협매장 191.1%, 건강식품 155.3%, 신변잡화 103.1% 등 5개 업종이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50% 이상 증가한 업종도 편의점·슈퍼마켓 등 97.4%, 보건․위생 95.4%, 가구․가전․주방용품 94.2%, 음식료품 85.8% 등 10개 업종이 있었다.
김명섭 도 대변인은 “정부와 경남의 긴급재난지원금 사용기한이 각 8월말과 9월말까지이지만, 지원금의 소비진작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도민들께서 긴급재난지원금을 신속히 소비 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린다”고 전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경남형 긴급재난지원금, 소비심리 반등 효과
5월말 기준 지급된 1793억 중 82.5%인 1480억 소비 기사입력:2020-06-07 09:40:3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395.54 | ▲51.34 |
코스닥 | 847.08 | ▲12.32 |
코스피200 | 462.74 | ▲8.7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284,000 | ▼147,000 |
비트코인캐시 | 819,500 | ▼3,000 |
이더리움 | 6,472,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170 | ▼100 |
리플 | 4,309 | ▼2 |
퀀텀 | 3,595 | ▼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281,000 | ▼262,000 |
이더리움 | 6,472,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220 | ▼100 |
메탈 | 1,051 | 0 |
리스크 | 543 | ▼1 |
리플 | 4,311 | 0 |
에이다 | 1,279 | ▼2 |
스팀 | 191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220,000 | ▼200,000 |
비트코인캐시 | 820,000 | ▼2,500 |
이더리움 | 6,475,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30,170 | ▼130 |
리플 | 4,308 | ▼3 |
퀀텀 | 3,599 | ▼11 |
이오타 | 276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