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중 8명, ‘프로 퇴근러’ 되고파

기사입력:2020-03-25 08:30:16
[로이슈 편도욱 기자] 워라밸이 떠오르고 개인의 여가 생활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일을 마치면 눈치보지 않고 퇴근하는 이른바 ‘프로 퇴근러’를 꿈꾸는 직장인이 10명 중 8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이 직장인 1,326명을 대상으로 ‘프로 퇴근러를 지향하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85%가 ‘프로 퇴근러를 지향한다’고 밝혔다.

연령대별로는 20대(91.2%)와 30대(90.4%)가 단연 높았고, 이어 40대(79.5%), 50대 이상(60.7%)의 순으로 나이가 어릴수록 프로 퇴근러를 지향하는 경향이 컸다.

또, 기혼자(76.9%)보다는 미혼자(90.2%)가 프로 퇴근러 지향 비율이 13.3%p 높았다.

이들 직장인의 41.4%는 ‘프로 퇴근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30.5%는 ‘이미 프로 퇴근러’라고 답했다. 하지만, 28%는 프로 퇴근러가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프로 퇴근러가 될 수 없을 것 같은 이유로는 단연 ‘일이 많아서’라는 응답이 61.7%(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야근이 당연시 되는 회사 분위기’(41.1%), ‘상사나 선배의 눈치가 보여서’(33.9%), ‘상사가 퇴근해야 퇴근 할 수 있어서’(15.5%), ‘습관적으로 야근을 하게 돼서’(11.7%) 등의 순이었다.

반면, 이미 프로 퇴근러라고 밝힌 이들(344명) 프로 퇴근러가 된 이유로 ‘불필요한 야근은 하고 싶지 않아서’(61.6%,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뒤이어서 ‘워라밸이 중요하기 때문에’(56.4%), ‘회사에 맹목적인 충성은 하고 싶지 않아서’(37.5%), ‘퇴근 후 취미 사교 활동 등을 즐기고 싶어서’(33.4%), ‘건강관리를 위해서’(25%),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19.2%) 등을 들었다.

그렇다면, 퇴근의 대척점인 야근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전체 응답자의 10명 중 8명(76.6%)가 ‘야근이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다.

이 역시 20대(86.5%), 30대(79.7%), 40대(69.5%), 50대 이상(55.2%)의 순으로 낮은 연령대일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다.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삶의 질이 저하된다’(78.9%, 복수응답)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계속해서 ‘건강이 나빠진다’(48.1%), ‘업무 능률이 떨어진다’(45.9%), ‘우울 또는 무기력해진다’(40.8%), ‘애사심이 떨어진다’(34.4%), ‘인간관계가 소홀해진다’(23.3%) 등을 꼽았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407.31 ▲11.77
코스닥 852.69 ▲5.61
코스피200 464.65 ▲1.91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985,000 ▼480,000
비트코인캐시 833,500 ▼500
이더리움 6,404,000 ▼39,000
이더리움클래식 29,070 ▼240
리플 4,205 ▼11
퀀텀 3,453 ▼1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923,000 ▼498,000
이더리움 6,405,000 ▼37,000
이더리움클래식 29,120 ▼190
메탈 1,012 ▼13
리스크 517 ▼4
리플 4,205 ▼10
에이다 1,222 ▼12
스팀 187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020,000 ▼490,000
비트코인캐시 833,000 ▲500
이더리움 6,410,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29,020 ▼280
리플 4,205 ▼10
퀀텀 3,447 ▼34
이오타 269 ▼1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