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부산광역시, 한국소비자원 부산지원, 부산소비자단체협의회가 2일 공동 발표한 「2019년도 부산지역 소비자 상담 정보 분석」에 따르면, 2019년 한 해 동안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부산지역 소비자 상담 건수는 전년 대비 9.1% 감소한 4만7117건으로 나타났다.
1372 소비자상담센터는 10개 소비자단체, 16개 광역시·도 지방자치단체, 한국소비자원이 참여하는 전국 단위의 통합 상담 처리시스템이다.
◇소비자 상담 접수 상위 품목은 이동전화서비스, 헬스장, 스마트폰 순
2019년도 상담 접수 상위 5개 품목은 이동전화서비스(1,938건), 헬스장·휘트니스센터(1,393건), 스마트폰(1,151건), 기타 의류 섬유(954건), 정수기 대여(렌트)(896건) 순이었다.
이동전화서비스와 스마트폰은 모두 휴대전화와 관련된 상담이므로 이동통신 가입 및 휴대전화 구매계약 체결 과정에서 소비자피해가 매우 많이 발생하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의류 건조기’, ‘투자자문·컨설팅’은 전년 대비 상담 대폭 증가
전년 대비 상담 건수 증가율이 높은 상위 5개 품목은 전기 의류 건조기(770.0%), 투자자문(컨설팅)(68.8%), 각종 공연 관람(68.1%), 원피스(56.8%), 시계(28.4%) 순이었다.
전기 의류 건조기는 특정 업체 제품의 자동세척 기능 불량 등 이슈로 인해 전국적으로 많은 상담이 접수된 것으로 분석된다. 부산지역의 경우 시계 품목의 전년 대비 증가율(28.4%)이 높은 점이 눈에 띈다.
◇ 전체 상담 건수는 9.1% 감소, 모바일거래 상담은 40.1% 증가
2019년도 부산시민이 접수한 소비자 상담은 총 4만7117건으로 전년 대비 9.1%(4,712건) 감소했다. 연령 확인이 가능한 4만5074건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30대가 12,480건으로 가장 많이 접수했다. 그 뒤로 40대(11,392건), 50대(8,835건), 60대 이상(6,670건), 20대(5,551건), 10대 이하(146건)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과 비교했을 때, 부산시의 50대, 60대 이상 소비자 상담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판매 방법별로는 일반판매(26,475건)를 제외하면 국내 온라인거래(9,725건), 방문판매(1,671건), 전화권유 판매(1,524건), 모바일거래(1,118건) 상담이 많았다.
전년 대비 증감률은 모바일거래가 40.1%로 가장 높게 나타나,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증가하면서 피해도 함께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휴대전화와 관련된 소비자 상담유형 중 ‘요금이나 사용법을 문의하기 위해 대리점 등을 방문하는 어르신들께 아직 휴대전화의 약정기간이 남아있음에도, 최신 휴대전화로 재계약하면 요금도 적게 나온다며 충동 구매를 부추기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면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그러면서 “휴대폰은 개통 후 취소가 매우 어려워 위약금에 관한 내용과 할부원금과 요금제 의무 사용 기간 등 계약서를 꼼꼼히 읽고 신중하게 구매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부산시 소비자상담, 이동전화서비스가 가장 많아
이동전화서비스, 헬스장, 스마트폰 순 기사입력:2020-03-02 10:44:2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3,953.76 | ▼72.69 |
| 코스닥 | 876.81 | ▼21.36 |
| 코스피200 | 557.98 | ▼10.40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5,234,000 | ▲1,199,000 |
| 비트코인캐시 | 746,500 | ▲7,000 |
| 이더리움 | 5,262,000 | ▲3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810 | ▲120 |
| 리플 | 3,459 | ▲31 |
| 퀀텀 | 2,880 | ▲27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5,330,000 | ▲1,112,000 |
| 이더리움 | 5,263,000 | ▲37,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840 | ▲110 |
| 메탈 | 698 | ▲4 |
| 리스크 | 309 | ▲2 |
| 리플 | 3,457 | ▲31 |
| 에이다 | 858 | ▲9 |
| 스팀 | 128 | ▲2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5,130,000 | ▲1,120,000 |
| 비트코인캐시 | 748,000 | ▲8,000 |
| 이더리움 | 5,260,000 | ▲3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810 | ▲140 |
| 리플 | 3,460 | ▲32 |
| 퀀텀 | 2,880 | 0 |
| 이오타 | 208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