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신종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중국산 부품 공급이 중단되면서 현대자동차 생산라인이 멈췄다. 이는 2차 벤더기업들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각종 모임 등이 취소되면서 제조업 외의 기업들 역시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실제로 기업 2곳 중 1곳은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인해 기업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202개사를 대상으로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절반 가량(49.5%)이 실제 ‘영향을 받는다’고 답했다.
영향으로는 관광객 감소, 외부활동 자제 등에 따른 ‘매출 감소’(30%,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중국산 자재 수급 차질’(28%), ‘해외출장 자제’(26%),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한 투자 위축’(23%), ‘해외 수출 감소’(21%), ‘경영성과 목표 조정’(18%), ‘인력 부족’(13%), ‘신규 채용 축소 및 채용 취소’(12%), ‘공장 중단’(7%)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이들 기업 중 63%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책을 준비 중이라고 답했다.
대응책으로는 '화상회의 등 비대면 업무 방안 마련'(30.2%,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생산량 축소나 생산 중단'(27%), '부품 등 자재 수급할 대체 국가 탐색'(23.8%), '신규 투자 자제'(20.6%), '부품 등 자재 국산화'(15.9%), ‘재택근무 확대’(12.7%) 등을 꼽았다.
또, 전체 응답 기업의 10곳 중 8곳(79.2%)은 신종코로나 바이러스로 촉발된 ‘차이나포비아’가 우리나라 경제 전반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경제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외부활동 자제에 따른 내수 위축’(58.8%, 복수응답)과 ‘중국산 자재 수급 차질로 인한 국내기업 생산 감소’(56.3%)가 1,2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중국 진출 기업의 매출 감소’(51.3%), ‘해외 수출 감소’(41.9%), ‘방한 관광객 감소’(38.1%),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한 기업 투자 위축’(32.5%) 등의 순이었다.
그렇다면, 기업 내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한 대응 현황을 어떨까?
기업 62.9%가 확산을 막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는 기업 유형별로 차이가 컸다. 대기업은 88.9%, 중견기업은 85.2%가 대책을 마련하고 있었지만, 중소기업은 56.1%만이 방지 대책이 있다고 답한 것. 중소기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예산이나 인력 등 대응할 여력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구체적인 확산 방지책으로는 ‘마스크 및 손세정제 지급’(81.1%,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철저한 개인위생 관리 권고’(73.2%), ‘직원이 많이 모이는 행사, 회식 자제’(51.2%), ‘마스크 사무실 내 착용 권고’(39.4%), ‘의심증상 발생 시 귀가 조치’(33.9%), ‘해외 출장 자제 및 금지’(29.1%), ‘해외출장자, 여행자 재택근무’(14.2%) 등의 답변이 있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기업 2곳 중 1곳, ‘신종코로나’ 기업 운영에도 영향 미쳐
기사입력:2020-02-05 08:26:4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3,953.76 | ▼72.69 |
| 코스닥 | 876.81 | ▼21.36 |
| 코스피200 | 557.98 | ▼10.40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5,740,000 | ▲759,000 |
| 비트코인캐시 | 745,000 | ▼500 |
| 이더리움 | 5,316,000 | ▲18,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920 | ▼160 |
| 리플 | 3,501 | ▲40 |
| 퀀텀 | 2,858 | ▲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5,650,000 | ▲443,000 |
| 이더리움 | 5,317,000 | ▲12,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980 | ▼160 |
| 메탈 | 693 | ▼3 |
| 리스크 | 305 | ▼2 |
| 리플 | 3,503 | ▲40 |
| 에이다 | 856 | ▲1 |
| 스팀 | 127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5,610,000 | ▲740,000 |
| 비트코인캐시 | 745,000 | 0 |
| 이더리움 | 5,315,000 | ▲20,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890 | ▼200 |
| 리플 | 3,500 | ▲39 |
| 퀀텀 | 2,880 | 0 |
| 이오타 | 209 | ▲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