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진원, '대한민국 콘텐스산업 2019 결산과 2020년 전망' 세미나 개최

기사입력:2019-11-25 17:58:30
한국콘텐츠진흥원은 2019년을 결산하고 다가오는 2020년을 전망하는 자리가 오는 12월 3일  마련된다고 밝혔다. 사진=콘진원

한국콘텐츠진흥원은 2019년을 결산하고 다가오는 2020년을 전망하는 자리가 오는 12월 3일 마련된다고 밝혔다. 사진=콘진원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2019년 한국 콘텐츠산업의 매출규모는 125조 원(전년대비 5.4% 증가), 수출액은 103억 달러(전년대비 8.2% 증가)로 전년도에 이어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산업통계를 비롯, 올 한해를 돌아보며 2019년을 결산하고 다가오는 2020년을 전망하는 자리가 오는 12월 3일 서울 SAC 아트홀에 마련된다고 25일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콘진원이 개최하는 ‘대한민국 콘텐츠산업 2019년 결산과 2020년 전망’ 세미나에서는 올해 콘텐츠산업을 아우르는 핵심 주제와 주요 키워드 발표가 이뤄진다. 2019년 콘텐츠산업의 5대 핵심 주제는 ▲변화 ▲대세 ▲확장 ▲글로벌 ▲진흥이다.

첫 번째 주제 ‘변화’는 ▲방송사의 OTT 합작법인 설립과 글로벌 OTT와의 협업 ▲보고 싶은 콘텐츠가 있는 OTT를 찾아 이동하는 콘텐츠 유목민 ▲OTT와 차별화된 체험형 영화 관람의 확산 등 콘텐츠가 비즈니스와 소비 혁신의 기준이 되는 흐름에 주목한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대세’는 ▲밀레니얼이 제작하는 90년대 소재의 콘텐츠 ▲소비자가 주도하는 능동적인 복고 붐 ▲다시 주목받는 90년대~2000년대 초의 한국형 ‘콘텐츠 클래식’ 등 밀레니얼 세대의 주도로 재편되는 콘텐츠시장을 조명한다고 전했다.

‘확장’에서는 ▲드라마 '열혈사제'와 같은 장르물의 인기 ▲IP 활용 장르의 범위 확장 ▲장르를 넘나드는 콘텐츠 제작인력의 영역 확장 등 ‘원천스토리의 다양한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슈퍼 IP’에 주목한다.

‘글로벌’은 ▲한일 외교 갈등 등 한류 확산에 부정적 영향을 준 위기요인 ▲높은 완성도의 콘텐츠와 성숙한 글로벌 팬덤으로 상승한 한류의 기초체력 ▲현지와의 협업, 글로벌 팬덤과의 교류로 진화하는 한류의 새로운 트렌드 등에 집중한다고 알려졌다.

마지막으로 ‘진흥’에서는 ▲중소 콘텐츠기업 특화 정책금융의 확대 ▲실감콘텐츠산업 성장 환경 조성 및 규제 혁신 ▲저작권 보호 범위의 확장 등 콘텐츠 창작자와 기업을 지원하고 응원하는 다양한 정책과 규제 혁신을 다룬다고 전해졌다.

한편, 2020년 콘텐츠산업을 전망하는 주요 키워드는 세미나 당일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행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콘진원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하며 온오프믹스를 통해 누구나 사전 등록할 수 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6.38 ▼28.90
코스닥 812.23 ▼0.65
코스피200 431.16 ▼3.6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368,000 ▼158,000
비트코인캐시 679,500 ▼2,000
이더리움 4,575,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7,010 ▼280
리플 4,135 ▼28
퀀텀 3,190 ▼4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468,000 ▼133,000
이더리움 4,573,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6,970 ▼340
메탈 1,099 ▼2
리스크 640 ▲4
리플 4,136 ▼25
에이다 1,041 ▼6
스팀 203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370,000 ▼200,000
비트코인캐시 678,500 ▼4,500
이더리움 4,578,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6,960 ▼340
리플 4,136 ▼24
퀀텀 3,205 ▼55
이오타 313 ▼4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