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디엠바이오는 최근 일본 PMDA로부터 바이오시밀러 생산공장의 GMP 적합성 승인을 획득했다고 28일 밝혔다.
동아제약에 따르면 PMDA(Pharmaceuticals and Medical Devices Agency,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는 일본 후생노동성 산하 기관으로, 의약품 및 의료기기에 대한 등록 및 관리 업무를 담당한다.
앞서 디엠바이오는 일본 내에서 판매될 바이오시밀러 상업생산을 위해 생산공장에 대해 지난 7월 8일부터 12일까지 5일간 일본 PMDA로부터 품질 보증 및 관리 시스템, 제조시설과 유틸리티, 제품, 원료 보관창고 등 GMP 적합성 심사를 받았으며, 이번 승인을 획득했다고 전한 바 있다.
디엠바이오는 미국 라크만(Lachman)사로부터 지난 2018년 9월부터 2019년 5월까지 GMP System(Quality, Material, Production, Laboratory, Microbiology, Computerized System, Facility & Engineering)에 대해서 미국 FDA 수준의 컨설팅을 받았으며, 이로 인해 미국 및 유럽향 바이오 제품의 생산도 가능하게 됐다고 전했다.
디엠바이오는 일본 제약사인 메이지세이카파마와 합작해 설립한 바이오시밀러 전문 회사다. 총 8,000리터 규모의 cGMP급 항체 바이오의약품 생산설비를 갖추고 있다. 양사가 공동 개발하는 제품의 생산뿐만 아니라, 위탁생산 및 공정개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CDMO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디엠바이오 관계자는 “이번 PMDA GMP 적합성 승인을 통해 디엠바이오 CDMO 사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일본 시장 및 글로벌 시장 진출에도 가속화해 나가겠다”며 “디엠바이오 CDMO 사업이 글로벌 시장에서도 인정받을 수 있도록 철저한 관리를 통해 글로벌 수준의 품질 수준을 확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디엠바이오, 바이오시밀러 송도공장 일본 PMDA GMP승인 획득
기사입력:2019-10-28 16:14:0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19.41 | ▼126.03 |
코스닥 | 772.79 | ▼32.45 |
코스피200 | 420.72 | ▼17.88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883,000 | ▼1,117,000 |
비트코인캐시 | 769,000 | ▼4,500 |
이더리움 | 5,032,000 | ▼7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880 | ▼200 |
리플 | 4,165 | ▼16 |
퀀텀 | 2,912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928,000 | ▼918,000 |
이더리움 | 5,029,000 | ▼7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890 | ▼160 |
메탈 | 997 | ▼5 |
리스크 | 572 | ▼5 |
리플 | 4,167 | ▼11 |
에이다 | 1,006 | ▼9 |
스팀 | 185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880,000 | ▼1,110,000 |
비트코인캐시 | 770,500 | ▼4,000 |
이더리움 | 5,035,000 | ▼6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920 | ▼180 |
리플 | 4,166 | ▼14 |
퀀텀 | 2,881 | ▼6 |
이오타 | 254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