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무원 “빠르고 간편한 가정간편식(HMR), 식탁 풍경 바꾼다”

기사입력:2019-02-27 13:53:06
사진=풀무원

사진=풀무원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심준보 기자] 풀무원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가정간편식(HMR, Home Meal Replacement)시장’의 성장이 지속될 것이라며, 나물밥을 시작으로 원물 재료로 구성된 ‘밀키트’ 형태의 간편식까지 풀무원 역시 가정간편식 라인업을 확대할 것을 27일 예고했다.

풀무원에 따르면 시장 조사 기업인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에 따르면 세계 간편식 규모는 2017년 1204억 달러, 지난해 1251억 달러에 이어 2023년 1398억 달러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시장 역시 연평균 17.3%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국내 간편식 시장 규모는 2015년 1조6000억원에서 2017년 2조2000억원으로 증가했으며 지난해는 4조원에 이를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가정간편식 시장 성장 규모. 사진=풀무원

국내 가정간편식 시장 성장 규모. 사진=풀무원

이미지 확대보기


시장조사 전문기업 트렌드모니터는 소비자들이 간편식을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로 ‘빠른 식사 준비’와 ‘간편함’을 꼽은 것으로 전해졌다. 더불어 외식이나 직접 요리하여 식사하는 것보다 비용이 적게 든다는 ‘경제적’인 측면과 특별한 메뉴를 집에서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는 ‘다양성’의 측면에서 만족한다는 응답도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풀무원측은 “간편식 시장의 성장이 지금까지 편리함과 경제적인 측면에 집중됐다면, 이제부터는 프리미엄 및 메뉴 다양화로 경쟁이 이어질 것”이라며 “국내 가정간편식 소비자층이 1인 가구에서 5060세대까지 확장되며 메뉴 다양성과 영양까지 고려해야 할 필요가 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에 풀무원은 한국인 건강식 선호도에 부합하는 프리미엄 비빔밥을 선보였다고 설명했다. 풀무원 생가득 ‘소고기 버섯 비빔밥’, ‘산채나물 비빔밥’은 국내산 쌀을 가마솥방식으로 지은 후 다섯 가지 재료를 더했다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풀무원 생가득 철판볶음밥 2종은 햄버그스테이크, 해산물 등 주재료와 밥의 비율이 50대 50으로 맞춘 프리미엄 냉동밥이라고 관계자는 전했다. 생가득 ‘씨푸드야채 철판볶음밥’은 해산물과 야채를 파기름으로 볶았으며,‘그릴함박 철판볶음밥’은 볶음밥에 함박 스테이크를 곁들여 10대를 겨냥한 제품으로 알려졌다.

간단한 끼니 대체나 영양 간식으로 죽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만큼 간편식 분야에도 전통죽이 떠오르고 있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올가홀푸드 건강죽은 친환경 인증을 받은 찹쌀과 잡곡, 채소 등의 원재료를 사용했으며 국내산 완도 전복을 사용한 ‘전복죽’, 저온살균한 유기농 우유와 국산 흑임자로 만든 ‘흑임자 타락죽’ 등 전통죽 라인업도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 외에 풀무원은 ▲풀무원 생가득 ‘베트남 쌀국수 Pho ▲‘태국볶음쌀국수 팟타이’ 등 동남아 요리와 ▲풀무원 생가득 ‘육즙듬뿍만두’ ▲‘새우듬뿍만두’ 등 딤섬 제품을 비롯한 해외요리도 확대하고 있다.

한편, 캠핑 및 여행을 고려해 출시된 ▲풀무원 찬마루 ‘우거지감자탕’ ▲‘얼큰 동태탕’등 간편전골 제품과 원물 재료로 구성된 ‘밀키트’ 형태의 ▲‘5분 키친 순두부찌개’ ▲‘육개장순두부찌개’ ▲‘짬뽕순두부찌개’ ▲‘쫄면순두부찌개’를 찾는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고 풀무원측은 전했다.

풀무원 관계자는 “‘인스턴트 식품은 건강에 좋지 않다’, ‘음식을 얼리면 맛이 없다’와 같이 과거에 존재했던 간편식에 대한 고정관념은 더 이상 통용되기 어려울 정도로 간편식 제품들은 급격히 발전하고 있다”라며 “오히려 간편식은 바쁜 현대인들이 식사 준비에 투자해야 하는 시간을 줄여 줌으로써 여유롭고 만족스럽게 식사를 즐길 수 있게 해 준다”라고 말했다.

심준보 기자 sjb@r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95.54 ▲51.34
코스닥 847.08 ▲12.32
코스피200 462.74 ▲8.74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090,000 ▼190,000
비트코인캐시 837,000 ▲12,000
이더리움 6,428,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9,600 ▲70
리플 4,236 ▲1
퀀텀 3,513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128,000 ▲11,000
이더리움 6,431,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9,600 ▲90
메탈 1,045 ▲2
리스크 530 0
리플 4,237 ▲1
에이다 1,241 ▲1
스팀 189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030,000 ▼150,000
비트코인캐시 837,000 ▲10,500
이더리움 6,42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9,570 ▲100
리플 4,235 ▼1
퀀텀 3,543 ▲17
이오타 271 ▲3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