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차영환 기자] 인천광역시 유정복 시장민선 8기 출범 이후 2년여 동안 시는 디지털 혁신과 물류·관광 정책을 결합해 시민 편의와 경제 활성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데 주력하여 아이패스, 바다패스, 소상공인 지원 ‘반값택배’ 등 생활밀착형 정책들이 시민과 소상공인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주면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인천시는 ‘아이패스(i-Pass)’를 통해 대중교통·공영주차·문화시설 등 다양한 생활 인프라를 한 장의 카드로 통합했다. 시민은 기존보다 훨씬 간편하게 교통비를 결제하고, 다양한 공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유 시장은 “시민이 불편을 겪지 않고도 생활 전반에서 스마트 서비스를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아이패스 도입 이후, 하루 평균 1만여 건 이상의 결제가 통합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민 만족도 조사에서도 85% 이상이 ‘만족’으로 응답했다.
‘바다패스(Bada Pass)’는 인천 내 섬과 해양 관광지를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교통과 관광을 결합한 패스 제도다. 인천 연안여객선과 섬 관광지를 연계한 통합 패스를 도입해, 관광객과 시민 모두 접근성을 높였다.
유 시장은 “인천이 가진 해양 자원을 시민과 관광객이 쉽게 즐기도록 해 지역경제와 관광산업을 동시에 살리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바다패스 시행 1년 만에 이용객 수가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하며 섬 지역 소상공인과 숙박업소에도 직간접적인 매출 상승효과를 가져왔다.
인천시는 온라인 거래 증가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위해 ‘반값택배’ 정책을 확대했다. 1,000원대 택배 요금으로 소상공인이 배송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정책 시행 후 1년 만에 참여 소상공인 2,500여 곳이 혜택을 받고, 연간 배송 비용 15~20% 절감 효과를 기록했다. 유 시장은 “지역 소상공인이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배송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 안정성과 매출 증대가 동시에 가능하다”고 평가했다.
유 시장의 정책들은 단순한 지원을 넘어 시민 편의·지역경제 활성화·디지털 혁신이라는 세 축을 동시에 추구한다. 아이패스·바다패스·반값택배 등은 ‘생활 속 정책 체감’이라는 목표 아래 기획됐다. 향후 시는 정책 데이터를 활용해 서비스 고도화, 사용자 맞춤형 혜택 확대, 지속 가능한 예산 운영까지 계획하고 있다.
아이패스 이용 시민 A씨(35, 직장인)는 “출퇴근길 교통비와 문화시설 이용이 한 장의 카드로 가능해 정말 편리하다. 일일이 결제할 필요가 없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바다패스를 사용한 관광객 B씨(42, 가족 단위 방문객)는 “아이들과 함께 섬 여행을 다니는데, 교통과 관광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어 가족 나들이가 훨씬 즐거워졌다”고 전했다. 반값택배를 이용한 소상공인 C씨(소규모 온라인 판매업자)는 “배송 비용 부담이 크게 줄어 장기적으로 매출과 고객 서비스 개선에 도움이 된다. 정책 덕분에 온라인 사업을 더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시민 체감과 만족이 정책 지속성과 확산 가능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라고 분석한다.
정책 전문가들은 “유정복 시장의 생활밀착형 정책은 시민 체감도를 높이는 동시에 지역 경제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내는 좋은 사례”라고 평가한다.
인천시는 유정복 시장의 민선 8기 정책을 통해 시민 생활 편의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강화하고 있다. 아이패스, 바다패스, 빈값택배 등은 단순한 서비스가 아니라, 시민과 소상공인을 연결하는 생활 혁신의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정책들이 얼마나 지속 가능하게 발전할지, 그리고 시민과 소상공인의 삶에 얼마나 깊이 자리 잡을지가 주목된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기획특집] 유정복 인천시장, 두 마리 토끼 동시에 잡는 데 주력
아이패스·바다패스·반값택배, 생활밀착형 정책 추진 큰 호응 기사입력:2025-09-17 19:39:2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413.40 | ▼36.22 |
코스닥 | 845.53 | ▼6.31 |
코스피200 | 466.99 | ▼5.86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300,000 | ▲297,000 |
비트코인캐시 | 827,500 | ▲3,500 |
이더리움 | 6,263,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370 | ▲90 |
리플 | 4,228 | ▲21 |
퀀텀 | 3,366 | ▲2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539,000 | ▲479,000 |
이더리움 | 6,271,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430 | ▲140 |
메탈 | 999 | ▲5 |
리스크 | 499 | ▲1 |
리플 | 4,230 | ▲22 |
에이다 | 1,219 | ▲9 |
스팀 | 184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390,000 | ▲450,000 |
비트코인캐시 | 829,000 | ▲4,000 |
이더리움 | 6,265,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450 | ▲230 |
리플 | 4,228 | ▲21 |
퀀텀 | 3,377 | ▲46 |
이오타 | 260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