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심준보 기자]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과 국민의힘 유승민 전 의원, 한동훈 전 대표가 일제히 국민연금 개혁안에 반대 입장을 내놓았다.
지난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국민연금법 개정안은 '내는 돈'인 보험료율은 내년부터 해마다 0.5%포인트씩 8년에 걸쳐 현행 9%에서 13%로 올리고, '받는 돈'인 소득대체율은 내년부터 현행 40%에서 43%로 올리는 내용이다.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은 "구조개혁 없는 모수조정은 미래 세대를 학대하고 착취하는 결정"이라며 "선거를 앞두고 18년 만에 연금개혁을 이뤘다고 자화자찬, 자랑거리를 만들어내려는 졸속 합의, '답정너식' 연금 야합에 개혁신당은 결코 동참할 수 없다"고 말했다.
21일 이 의원은 기자회견을 열고 "300만원 정도 버는 사회 초년생이라면 평생 5천만원 이상의 부담이 늘어난 것"이라고 비판하면서 최상목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의원은 "평균 연령 60세에 가까운 이들이 지금 태어나는 아이들의 미래를 난폭하게 갈라치는 행태는 여기서 멈춰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연금 자동조정장치 도입, 신·구 연금 분리안, 세대별 형평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등이 도입될 수 있도록 구조개혁에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연금개혁안을 비판한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 유승민 전 의원과 정책연대가 가능한가라는 질문에는 "그분들과 다르게 생각하는 부분이 더 많고 가끔가다 한가지 일치하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며 "대선에 여러 어젠다가 있는데 한두 가지를 놓고 큰 틀의 연대를 논의하기는 어렵다"고 답했다.
국민의힘 유승민 전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국회를 통과한 '13%·43%'(의 개혁안은 여야가) 땜질하기로 담합한 것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더 내고 덜 받는' 연금개혁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으나, '더 내고 더 받는' 방식으로 고갈 시점을 기껏 몇 년 늘린 것을 이대로 받을 수는 없다"며 "근본적 연금개혁을 다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최상목 권한대행은 당연히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며 "청년들이 신뢰할 수 있는 연금개혁을 위해 정부도, 여야도 각자 단일안을 제시해서 (논의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동훈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서 "청년세대에 독박을 씌워서는 안 된다"며 정부가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 전 대표는 보험료율에 대해 "언뜻 공평해 보이지만 그렇지 않다. '머지않아 연금을 받는 86세대를 비롯한 기성세대'보다 '앞으로 돈을 낼 기간이 훨씬 긴 청년세대'의 부담이 훨씬 크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소득대체율에 대해서도 "내년부터 곧장 인상하는 것도 문제"라며 "내야 할 돈은 천천히 올리고, 받을 돈만 즉시 올리면 내야 할 기간이 짧은 기성세대의 이득만 커지고 그만큼 청년세대의 부담은 무거워진다"고 주장했다.
심준보 로이슈(lawissue) 기자 sjb@rawissue.co.kr
이준석·유승민·한동훈 "연금개혁안 반대...거부권 행사해야"
기사입력:2025-03-22 14:56:4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3,919.10 | ▼107.35 |
| 코스닥 | 871.02 | ▼27.15 |
| 코스피200 | 553.51 | ▼14.87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2,326,000 | ▲26,000 |
| 비트코인캐시 | 720,500 | ▼500 |
| 이더리움 | 4,997,000 | ▼8,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2,620 | ▼310 |
| 리플 | 3,334 | ▲9 |
| 퀀텀 | 2,658 | ▲12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2,460,000 | ▲13,000 |
| 이더리움 | 5,002,000 | ▼7,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2,640 | ▼320 |
| 메탈 | 656 | ▲2 |
| 리스크 | 285 | ▲2 |
| 리플 | 3,334 | ▲9 |
| 에이다 | 808 | ▲3 |
| 스팀 | 119 | ▲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2,430,000 | ▲30,000 |
| 비트코인캐시 | 719,000 | ▼3,000 |
| 이더리움 | 5,000,000 | ▼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2,690 | ▼250 |
| 리플 | 3,332 | ▲7 |
| 퀀텀 | 2,650 | 0 |
| 이오타 | 195 | ▲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