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CJ대한통운의 중국 자회사인 CJ스피덱스가 시베리아 횡단철도(Trans Siberian Railway :TSR)를 이용해 핀란드-중국 간 화물직행열차(블록트레인)를 운행하는데 성공했다.
CJ대한통운은 CJ스피덱스가 핀란드 코우볼라에서 중국 옌저우 간 TSR을 통한 블록트레인의 운행에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열차는 지난 10월 19일 펄프화물 41FEU(40피트컨테이너 1개를 세는 단위)를 싣고 핀란드 코우볼라를 출발했으며, 유럽과 러시아를 거쳐 총 1만 1670km를 19일 간 달린 끝에 11월 7일 중국 옌저우에 도착했다.
운행거리인 1만 1670km는 서울-부산 간을 15번 왕복하는 것과 맞먹는다. 블록트레인은 화차들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출발역에서 도착역까지 직행하는 화물열차다.
이번 CJ스피덱스의 TSR 블록트레인을 통한 핀란드-중국 간 화물운송은 중국 대형 제지사에 제지 원료인 펄프를 공급하기 위한 시범운영으로, CJ스피덱스는 향후 고객사와 북유럽발 중국향 노선의 정기 운행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CJ스피덱스는 지난 2017년 유럽-중국 간 화물철도 운영을 개시했으며 중국횡단철도(Trans China Railway:TCR)와 TSR을 이용해 지난해에만 2956FEU의 화물을 운송했다. 이번 시범운영은 북유럽지역으로까지 운영범위를 넓혔다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해상운임 인상과 선복량(화물선에서 화물을 싣을 수 있는 공간) 부족 등으로 인해 유럽과 중국 간 대체운송 수단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유럽으로 가는 철도편 대비 상대적으로 적었던 유럽 출발-중국 도착 블록트레인의 추진은 컨테이너 수급 불균형 해소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CJ스피덱스는 이번 시범운영의 성공을 계기로 유럽-중국 간 블록트레인 운영을 더욱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CJ스피덱스는 CJ대한통운과 중국 3대 종합전자회사인 TCL그룹이 합작해 지난 2016년 설립된 종합물류기업이다. 전기전자제품에 특화된 물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밖에도 육상운송, 물류센터 운영, 대륙간 철도운송 등 종합물류사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CJ대한통운, 핀란드-중국 간 TSR 통한 블록트레인 운행 성공
기사입력:2020-12-15 22:52:0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39.40 | ▲19.99 |
코스닥 | 782.28 | ▲9.49 |
코스피200 | 424.18 | ▲3.46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480,000 | ▲90,000 |
비트코인캐시 | 772,000 | ▼1,000 |
이더리움 | 4,987,000 | ▲3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130 | ▲100 |
리플 | 4,211 | ▲18 |
퀀텀 | 2,897 | ▲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523,000 | ▲123,000 |
이더리움 | 4,990,000 | ▲4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100 | ▲50 |
메탈 | 999 | ▼1 |
리스크 | 573 | ▲1 |
리플 | 4,212 | ▲21 |
에이다 | 1,033 | ▲8 |
스팀 | 183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510,000 | ▲70,000 |
비트코인캐시 | 769,500 | ▼3,500 |
이더리움 | 4,988,000 | ▲4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100 | ▲120 |
리플 | 4,213 | ▲21 |
퀀텀 | 2,901 | ▲17 |
이오타 | 260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