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부·울·경 제조업 현장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공급망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리쇼어링(Reshoring,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 )에 대해 부정적 의견이 압도적으로 나왔다. 현 상황에서 리쇼어링을 고려하고 있는 기업도 극소수에 불과 했다.
부산상공회의소(회장 허용도)는 16일 ‘부울경 제조업 리쇼어링 수요 및 의견 조사결과’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이번 조사의 대상은 부․울․경에서 해외에 생산법인을 보유한 120개 제조기업이다.
조사에 따르면 해외 생산거점을 가지고 있는 부울경의 제조기업 대다수는 저임금과 현지시장 공략이 해외진출의 주된 목적이었다. 전체 응답업체의 44.2%가 저임금활용을, 39.2%는 현지시장 공략을 진출 사유로 들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 외 목적으로는 ‘원청업체 동반진출’ 5.8%, ‘원자재수급’ 4.2% 등의 순으로 확인됐다.
진출국가는 중국과 베트남이 각각 33.9%, 30.6%로 가장 많았고, 미국 5.9%, 인도네시아 4.8%, 인도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 기업 전체의 해외 현지 고용규모는 약 10만 명 수준이었으며, 이들의 임금 수준은 국내 인건비 대비 평균 45.3% 수준이었다.
리쇼어링 정책에 대해서는 부정적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조사기업의 82.5%가 리쇼어링을 공급망 위기 극복의 대안으로 보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긍정적 평가 의견을 낸 기업은 17.5%에 그쳤다. 실제 현 상황에서 리쇼어링을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4.2%에 불과했고 현 상황을 유지하겠다는 기업이 전체의 76.7%로 가장 많았다.
오히려 응답기업의 7.5%는 현지 투자규모를 확대하겠다고 했으며, 11.7%의 기업은 제3국 신규투자를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해 리쇼어링에 대한 기대보다는 제조기업의 해외생산 비중 확대를 걱정해야 할 상황이다.
한편, 리쇼어링을 전제로 한 희망 지역을 물은 결과, 응답기업의 70%는 본사 소재지가 있는 곳을 선택한 반면, 30%는 본사 소재지가 아닌 곳을 선택했고, 이중 6.7%는 수도권을 고려하기도 하여 리쇼어링이 오히려 지역의 경제력을 약화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턴 대상지역으로서 부산의 경쟁력은 경남에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 소재 기업 중 75%가 경남으로 돌아오겠다고 응답한 반면, 부산 소재 기업은 66.7%로 경남보다 낮게 나왔다. 그리고 부산 소재 기업 중 경남으로 유턴하겠다고 응답한 기업은 16.7%인데 반해 경남 소재 기업 중 부산 유턴을 고려하겠다고 한 기업은 이보다 낮은 9.6%였다. 또한 유턴 고려 시 부산 소재 기업 중 10%가 수도권을 염두에 둔데 반해 경남 기업은 이보다 훨씬 낮은 3.8%에 그쳤다.
기업들 유턴 시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사항은 산단 등 산업 인프라였다. 전체 응답 업체의 38.3% 이를 지적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 외 고려 사항으로는 ‘항만․공항 등의 물류인프라’ 19.2%, ‘우수한 생산․기술인력 확보’ 17.5%, ‘본사 소재지’ 10.8%, ‘각종 정책지원’ 10.0%, ‘연관 산업 발달’ 4.2% 등의 순을 보였다.
지역 제조기업의 리쇼어링 최대 걸림돌은 국내 고임금과 고용환경 악화에 대한 부담이었다. 조사 기업의 34.2%가 이를 가장 큰 애로 사항으로 지적했다. 이는 지역 제조 기업 대다수가 저임금 활용과 현지 시장 공략을 해외진출의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어 최저임금 인상과 주52시간 근로제 등 고용환경 부담이 커져가고 있는 국내 경영환경에 대한 현실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해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의 현실과 지역 제조기업의 해외진출 목적을 감안할 때 현재로서는 지역 기업의 자발적 리쇼어링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고 했다. 하지만“각종 고용제도 개선과 다양한 정책지원 혜택을 늘린다면, 리쇼어링을 통해 지역적․산업적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형태의 상생형 일자리 창출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부·울·경 제조기업 대다수는 리쇼어링에 부정적
리쇼어링 최대 걸림돌은 고임금과 고용환경 악화 기사입력:2020-07-16 09:41:4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468.65 | ▲23.41 |
코스닥 | 874.36 | ▲11.25 |
코스피200 | 478.29 | ▲4.8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504,000 | ▼284,000 |
비트코인캐시 | 809,500 | ▼2,000 |
이더리움 | 5,943,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390 | ▼160 |
리플 | 3,974 | ▼9 |
퀀텀 | 3,091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456,000 | ▼344,000 |
이더리움 | 5,950,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390 | ▼160 |
메탈 | 928 | ▼7 |
리스크 | 466 | ▼2 |
리플 | 3,976 | ▼6 |
에이다 | 1,159 | ▼4 |
스팀 | 175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590,000 | ▼310,000 |
비트코인캐시 | 809,000 | ▼1,000 |
이더리움 | 5,950,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400 | ▼130 |
리플 | 3,972 | ▼11 |
퀀텀 | 3,110 | ▲38 |
이오타 | 243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