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표, 메가더블윌 '올해 산업기술성과' 선정

기사입력:2019-11-18 11:30:01
삼표 기술연구소 전경. 사진=삼표그룹

삼표 기술연구소 전경. 사진=삼표그룹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여송 기자] 건설기초소재 분야 국내 최초로 기술연구소를 설립해 기술개발을 선도하고 있는 삼표그룹이 잇따라 선보이고 있는 신제품이 시장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최근 삼표그룹은 공사 현장에서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인 블루콘 셀프·소프트·스피드·윈터 등 특수 콘크리트와 도로 건설용 플라이애시 시멘트 등 고품질의 제품 개발에 성공했고, 시판 중이다. 공기(工期) 단축과 건축물 내구성 제고 등에 고민이 컸던 건설현장에선 이번 삼표그룹이 선보인 고품질 제품으로 걱정을 덜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삼표그룹이 지난달 국내 최초로 선보인 메가더블월(MDW)은 한국공학한림원(한림원)의 ‘2019년 15대 산업기술성과’로 선정됐다.

삼표그룹에 따르면 한림원은 국내 공학 분야 최고 권위의 기관으로 매년 국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견인하고, 신산업 개척에 기여할 수 있는 부문별 기술을 선정한다.

올해 한림원의 기술성과로 선정된 MDW는 대형 공간 시공 때 적용되는 최신 PC(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 중 하나다. PC공법은 공장에서 미리 콘크리트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건축 현장에서 거푸집을 만들어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붓는 일반적인 방식과는 달리 PC공법은 공장에서 형틀에 흘려 부어 이를 현장에서 조립하기 때문에 고른 품질을 자랑한다.

일반 더블월은 기존 PC공법의 단점인 누수·결로 등의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두께 18~50㎝, 길이 최대 10m 규모다. MDW는 이보다 2배 이상 큰 60~120㎝ 두께, 14m 길이로 넓은 공장, 물류 창고 등에 도입된다. 삼표그룹 관계자는 “근로시간과 공기 단축은 물론 건설폐기물도 크게 줄일 수 있어 친환경적인 건설현장을 조성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처럼 경쟁사에 앞서 신제품과 기술을 선보이는 것은 R&D에 대한 그룹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기에 가능했다. 특히 정도원 삼표그룹 회장은 임직원에게 기술혁신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다고 전했다.

정 회장은 올해 건설경기 악화에도 불구, 올해 초 신년사를 통해 “지속가능한 기업을 유지하기 위해 경쟁사보다 한발 앞서 새로운 제품을 계속 선보이며 시장을 선점해야 한다”며 “건설업 불황이 끝났을 때 가장 먼저 도약할 수 있는 전략으로 '기술력 향상'에 정진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연구개발비도 해마다 늘렸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015년 26억9000만원이던 연구개발비는 2016년 48억7500만원으로 크게 증가했고, 2017년에도 49억1400만원을 썼다. 특히 건설경기가 크게 악화된 2018년에도 48억7900만원을 연구개발비로 사용했다고 알려졌다.

각 소재별 최고 수준의 기술연구소도 운영 중이다. 지난 1993년 레미콘 업계 최초로 경기 광주시 소재 기술연구소를 설립한 데 이어 강원 삼척시 소재 시멘트 연구소, 충북 청주시 소재 철도기술연구소, 경기 화성시 소재 콘크리트 연구소 등을 운영 중이다. 또 해외 선진 기업의 박사급 인력 채용, 해외사례 견학, 건설 선진국과의 협업 등으로 연구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고 전해졌다.

삼표그룹 관계자는 “동종업계 최초로 기술연구소를 설립할 정도로 삼표는 기술력에 승부를 걸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해지는 건축 구조물과 급변하는 건설 정책 등에 맞춰 기술집약적·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15.28 ▲13.25
코스닥 812.88 ▲13.51
코스피200 434.78 ▲2.29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94,000 ▲399,000
비트코인캐시 670,500 ▲6,000
이더리움 4,175,000 ▲79,000
이더리움클래식 25,050 ▲380
리플 3,972 ▲44
퀀텀 3,092 ▲6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38,000 ▲900,000
이더리움 4,175,000 ▲97,000
이더리움클래식 25,050 ▲380
메탈 1,066 ▲21
리스크 604 ▲12
리플 3,972 ▲52
에이다 995 ▲11
스팀 197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40,000 ▲360,000
비트코인캐시 671,000 ▲7,000
이더리움 4,178,000 ▲83,000
이더리움클래식 25,070 ▲510
리플 3,966 ▲40
퀀텀 3,030 0
이오타 299 ▲3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