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연구재단은 좌용호 교수 연구팀이 기존 희토류 영구자석을 대신해 새로운 코어-쉘(core-shell) 섬유 구조의 나노자석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나노자석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차세대 전기모터, 발전기, 마그네틱 센서 등 산업 전반에 폭넓게 사용되는 영구자석의 새로운 소재로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재단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미국화학회(Americal Chemical Society, ACS)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29·30호 표지논문으로 각각 7월 24일, 31일자에 게재되었다고 전했다.
전자제품의 경량화, 초소형화 및 고성능화에 발맞춰, 단위 부피당 더 높은 자기적 성능을 갖는 고에너지 밀도의 영구자석 소재가 요구된다.
기존 보자력(자기장이 제거돼도 자성을 유지하는 능력)이 큰 희토류 영구자석에 보자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연자성 물질 일부를 도입하여 두 물질 계면에서의 자기교환반응을 통해 더 높은 자성을 끌어내는 ‘교환스프링자석(exchange-spring magnet)’이 최근 주목받고 있다고 알려졌다.
자기교환반응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희토류와 연자성 물질을 고르게 혼합하는 것과 희토류 표면을 균일한 두께의 연자성 물질로 코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희토류계 경자성 나노섬유(사마륨-코발트, 200 nm의 직경과 수십 μm의 길이)에 연자성을 띄는 나노두께의 철-코발트 코팅층을 형성하여 코어-쉘 구조의 교환자기결합형 자성 재료를 개발했다고 전했다.
높은 보자력을 갖는 경자성 소재와 높은 자화값을 갖는 연자성 소재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기존 희토류계 영구자석 대비 자기에너지밀도를 146%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인력에 의해 서로 응집되는 데다 고르게 도금하기 어려웠던 기존 구형 소재 대신 섬유형 구조체를 활용하는 한편 비희토류계 도금층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자기적 특성을 향상시켜 고가의 희토류 사용량도 줄일 수 있었다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한국연구재단, 희토류 사용 줄이면서 더 강한 자성 갖는 나노자석 개발
기사입력:2019-08-13 16:53:0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75.77 | ▼7.46 |
코스닥 | 800.47 | ▲2.77 |
코스피200 | 428.07 | ▼0.3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498,000 | ▼171,000 |
비트코인캐시 | 687,500 | ▼3,000 |
이더리움 | 3,983,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70 | ▼80 |
리플 | 3,687 | ▼16 |
퀀텀 | 3,033 | ▼1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589,000 | ▼108,000 |
이더리움 | 3,981,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80 | ▼50 |
메탈 | 1,056 | ▼13 |
리스크 | 603 | ▼4 |
리플 | 3,686 | ▼18 |
에이다 | 952 | ▼5 |
스팀 | 192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490,000 | ▼170,000 |
비트코인캐시 | 686,500 | ▼3,500 |
이더리움 | 3,980,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60 | ▼150 |
리플 | 3,688 | ▼17 |
퀀텀 | 3,053 | 0 |
이오타 | 25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