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심준보 기자]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 주병권 교수, 선문대 박영욱 교수 연구팀이 발광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디스플레이용 유연투명전극을 개발하였다고 7일 밝혔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신형 유연투명전극은 기존 은 나노와이어보다 100배 이상 긴 은 파이버를 제작하여 개발됐다. 기존 투명전극은 유연하지 못한 반면, 은 나노와이어는 유연하면서도 투명전극만큼 전도도와 투명도가 우수하여 차세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은 나노와이어를 OLED 디스플레이에 활용하기에는 나노선의 길이나 표면에 생성되는 요철의 문제로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팀은 전기방사공정을 이용하여 길이가 수 센티미터에 달하고 접합이 없는 은 파이버 전극을 개발하여 전도도와 투명도, 전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해냈다.
새롭게 개발된 은 파이버는 두께와 밀도 조절을 통해 전도도와 투명도를 극대화하였고, 그 결과 기존 투명전극을 이용한 OLED보다 19% 더 높은 에너지 변환 효율을 보였다.
주병권 교수는 “이 연구는 은 나노와이어의 한계를 극복한 은 파이버 전극을 개발하여 OLED에 도입한 최초의 사례”라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및 조명 시장에 핵심 기술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과기부와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지원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는 나노소재 분야 국제학술지 Small에 12월 28일자 논문으로 게재되었다.
심준보 기자 sjb@rawissue.co.kr
한국연구재단, 신형 디스플레이용 유연투명전극 개발 발표
기사입력:2018-01-08 08:40:4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92.29 | ▲5.91 |
코스닥 | 818.27 | ▲6.04 |
코스피200 | 431.64 | ▲0.48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223,000 | ▼278,000 |
비트코인캐시 | 678,000 | ▲500 |
이더리움 | 4,689,000 | ▼2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190 | ▼60 |
리플 | 4,447 | ▲26 |
퀀텀 | 3,190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064,000 | ▼338,000 |
이더리움 | 4,684,000 | ▼1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180 | ▼70 |
메탈 | 1,099 | 0 |
리스크 | 637 | ▲3 |
리플 | 4,444 | ▲28 |
에이다 | 1,110 | ▲2 |
스팀 | 202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260,000 | ▼230,000 |
비트코인캐시 | 677,000 | ▲500 |
이더리움 | 4,685,000 | ▼2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140 | ▼140 |
리플 | 4,449 | ▲29 |
퀀텀 | 3,184 | ▼17 |
이오타 | 31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