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대성학원이 2026학년도 수시 논술전형 주요 변화사항을 정리했다고 31일 밝혔다.
2026학년도에는 44개 대학에서 논술전형으로 1만 2,806명을 선발한다. 전형 신설 대학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 모집 규모도 전년 대비 증가했으나, 각 대학의 모집인원은 대체로 전년도와 같거나 감소했다. 논술전형 규모가 크게 줄어든 대학으로는 건국대, 고려대, 연세대 등이 있고, 서울시립대, 중앙대, 한양대 등은 전년 대비 모집인원이 소폭 증가했다.
올해 논술전형을 신설한 대학은 강남대, 국민대, 단국대[천안]로, 국민대의 경우, 2015학년도 논술전형 폐지 이후 약 11년만에 부활한 것으로, ‘논술 100%’로 226명을 선발한다. 단국대는 죽전 캠퍼스에서만 논술전형을 실시했었는데, 올해에는 천안 캠퍼스에서도 의예, 치의예 총 11명을 논술전형으로 선발한다.
그리고 성균관대는 논술전형을 언어형과 수리형으로 구분해 선발한다. 일부 모집단위를 제외하면 언어형과 수리형 모두 지원 가능한데, 이때 특정 자연계열 모집단위는 언어형으로 지원 시 수능 최저학력기준에 수학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매년 많은 대학이 논술전형의 교과 반영비율을 축소하거나 아예 반영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2026학년도에도 삼육대, 서강대, 성신여대가 전형방법을 ‘논술 100%’로 변경, 더 이상 학생부를 반영하지 않는다. 이로써 올해는 44개 대학 중 18개 대학이 논술고사만으로 학생을 선발하게 되었다. 이 밖에 광운대, 서울시립대, 수원대, 을지대, 한신대가 교과 비중을 축소하고 그만큼 논술 영향력을 확대했다.
2026학년도에는 논술전형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변경한 대학이 많다. 한양대는 한양인터칼리지학부에 한해 논술전형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했으나, 올해부터 전 모집단위에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신설한다. 이에 반해 서울여대와 신한대는 올해부터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폐지한다. 고려대와 홍익대는 2026학년도부터 수학, 탐구 과목 지정을 폐지함에 따라 계열 구분 없이 모두 동일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한다. 의, 약학계열 중에선 가톨릭대(의/약), 경북대(의/치/수/약), 부산대(의/치/약) 등이 수학, 탐구 과목 지정을 폐지해 확통 또는 사탐으로도 최저 충족이 가능해졌다.
그리고 고려대는 ‘4개 합 5’로 최저가 매우 높았던 경영대학 역시 ‘4개 합 8’로 완화한다. 이화여대도 인문계열의 등급 합을 ‘3개 합 6’에서 ‘국어 포함 2개 합 5’로 완화한다.
대체로 인문계열은 교과통합형 인문논술을 실시하는데, 대학에 따라 영어 제시문을 포함하거나 수리논술 또는 그에 준하는 계산 문제, 통계 및 도표 분석을 활용하기도 한다. 자연계열은 크게 수리논술, 또는 수리논술+과학논술 실시 대학으로 구분되는데, 대부분 수리논술만 실시한다. 44개 대학 중 과학논술 실시 대학은 경북대, 경희대(의/치/한/약), 아주대(의예)가 유일하다. 이중 경북대는 의/약학계열은 ‘수리논술+의학논술’, 그 외 자연계열은 ‘수리논술+통합교과형논술’의 형식으로 논술을 치르는데, 의학논술과 통합교과형논술 모두 과학 교과목을 기반으로 한다.
전년도 연세대에 이어 올해는 연세대[미래]가 과학논술을 폐지하고 수리논술만 실시한다. 서울여대도 자연계열은 통합과학, 생명과학Ⅰ을 출제범위로 하는 과학 통합교과형 논술을 실시했으나, 올해부터 수리논술로 변경한다.
2026학년도 수시 논술전형 주요 변화사항을 비롯한 입시 관련 정보는 대성학원 공식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대성학원, "2026학년도 논술전형, 국민대·단국대 천안 등 논술전형 신설"
기사입력:2025-07-31 11:11:0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27.68 | ▲29.54 |
코스닥 | 805.81 | ▲2.32 |
코스피200 | 435.35 | ▲4.67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933,000 | ▼316,000 |
비트코인캐시 | 799,500 | 0 |
이더리움 | 5,284,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730 | ▼90 |
리플 | 4,218 | ▲8 |
퀀텀 | 2,907 | ▼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963,000 | ▼437,000 |
이더리움 | 5,283,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790 | ▼50 |
메탈 | 1,006 | ▼3 |
리스크 | 566 | 0 |
리플 | 4,216 | ▲1 |
에이다 | 1,042 | ▼2 |
스팀 | 183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050,000 | ▼310,000 |
비트코인캐시 | 800,000 | ▼500 |
이더리움 | 5,285,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800 | ▼20 |
리플 | 4,219 | ▲9 |
퀀텀 | 2,906 | 0 |
이오타 | 26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