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조현래, 이하 콘진원)은 한-UAE 콘텐츠산업 진흥 협력 체계 구축 확대를 위해 UAE 콘텐츠산업 진흥기관 두 곳과 지난 16일과 17일 UAE 두바이에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콘진원과 양해각서를 체결한 기관은 ▲두바이경제관광부 소속 ‘두바이행사진흥청(DFRE)’ ▲중동지역 최대 콘텐츠마켓인 두바이인터내셔널콘텐츠마켓의 주최사 ‘인덱스홀딩’으로 두 곳이다.
이번 양해각서는 콘텐츠 분야 핵심 국정과제 이행 기반 마련으로, 해외 진출 전략 다변화를 통한 K-콘텐츠 해외시장 판로개척, 양국 간 콘텐츠산업 교류협력을 통한 한류 확산과 연관산업 수출 견인에 이바지하고자 진행됐다.
최근 중동 콘텐츠시장은 높은 젊은 인구율과 강한 소비력을 기반으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UAE는 드라마, 음악, 뷰티 등 다양한 분야의 K-콘텐츠 인기가 높아, 향후 아랍 중동권 한류 확산의 핵심 거점이자 신진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콘진원은 K-콘텐츠를 수출 지형을 바꾸는 게임체인저로 육성하겠다는 목표로, 전략적 수출 확대를 위한 기반 구축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이에 이번 양해각서 체결이 신진 한류 확산 거점으로 일컬어지는 중동지역의 K-콘텐츠 수출확대를 위한 포석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체결식은 윤석열 대통령 UAE 국빈방문 기간에 맞춰 진행됐으며, 콘진원 조현래 원장과 DFRE 아흐메드 알 카자대표, 인덱스홀딩 압둘 살람 알 마다니 회장 및 아나스 알 마다니 부회장이 참석했다.
DFRE는 두바이의 유통 및 축제 부문을 진흥하며 두바이가 연중 세계적인 관광지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관이다. 또한 인덱스홀딩은 전시 컨벤션, 무역 및 투자,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의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중동지역 최대 콘텐츠마켓인 두바이인터내셔널콘텐츠마켓을 주최하는 등 중동지역 콘텐츠산업 협력을 위한 핵심 기업으로 손꼽힌다고 전했다.
이번 체결을 통해 콘진원과 DFRE, 인덱스홀딩은 ▲양국의 콘텐츠산업 발전을 위한 협력 관계 구축 ▲공동 프로젝트 진행 ▲정기적인 사업 및 공통 관심사 검토를 통한 정보교환 촉진에 힘을 모은다. 또한 ▲두바이인터내셔널콘텐츠마켓 ▲KITE : K-POP in the Emiretes 콘서트 ▲K-콘텐츠 엑스포 등 양국의 콘텐츠 행사 개최에 협력하는 등 콘텐츠 분야에서 긴밀한 교류 관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콘진원은 중동지역 K-콘텐츠 진출 확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지난해 10월 UAE에 해외비즈니스센터를 개소해 현지 거점을 구축했다. 센터 개소기념 케이팝 공연 ‘제3회 KITE:K-POP in the Emirates’외에도, 11월에는 두바이와 아부다비에 한류 신기술융합콘텐츠 전시관을 조성, 방탄소년단(BTS)의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 콘서트와 영화 ‘기생충’을 가상현실콘텐츠로 선보여 1만 명 관람객의 발길을 모았다. 또한 ‘KCON 2022 사우디아라비아 WITH KOCCA’를 통해 중동 한류 팬 2만명과 바이어들에게 다양한 장르의 K-콘텐츠를 소개하고 수출상담을 지원했다.
콘진원 조현래 원장은 “새로운 한류 확산의 거점인 중동지역에서 두바이 정부 소속 공공기관 및 콘텐츠 연관기업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게 되어 앞으로의 기대가 크다”며, “이들과의 다각적인 협력을 통해 K-콘텐츠의 저변을 넓히고 양국의 교류로 콘텐츠산업이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콘진원, UAE 콘텐츠산업 기관과 양해각서 체결
기사입력:2023-01-18 20:17:0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07.91 | ▲2.79 |
코스닥 | 817.15 | ▲5.75 |
코스피200 | 433.10 | ▲0.2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4,898,000 | ▼75,000 |
비트코인캐시 | 840,000 | 0 |
이더리움 | 6,001,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660 | ▼100 |
리플 | 4,020 | ▼6 |
퀀텀 | 3,705 | ▼1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4,999,000 | ▲11,000 |
이더리움 | 6,005,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660 | ▼90 |
메탈 | 972 | ▼3 |
리스크 | 507 | ▼6 |
리플 | 4,023 | ▼2 |
에이다 | 1,169 | ▼2 |
스팀 | 184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4,950,000 | ▲40,000 |
비트코인캐시 | 839,500 | ▼3,000 |
이더리움 | 6,000,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650 | ▼140 |
리플 | 4,022 | ▼3 |
퀀텀 | 3,691 | ▼34 |
이오타 | 25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