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차영환 기자] 인천광역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 허식 의원이 시정 질의에서 300만 인천시민의 자유민주주의, 자유시장 경제 PPT 자료를 통해 “인천시민의 요구는 미룰 수 없는 명령”이라며 송도 6·8공구 103층 랜드마크 사업과 R2 부지 개발 등 개선을 촉구했다.
인천시 사업은 시민이 바라보는 눈길이 매섭다. 제2의 대장동 사례가 안 나오도록 공공기여를 위해 개발이익과 지속적인 수익 구조를 짜라는 것이다. 황금알을 낳는다는 38만 평 중 18만 평을 차지하는 골프장 수익 구조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요지도 강조됐다.
허 의원은 9월 4일 열린 제303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지난 3월과 6월 두 차례에 걸쳐 청소년 전용 정신병상 설치와 화도진도서관 복합문화센터 신축 건립 필요성을 제기한 바 있다. 기관끼리 MOU 체결로 가시화됐다”고 언급하면서 칭찬도 했다.
그는 유정복 시장과 도성훈 교육감, 동구청장, 인천의료원장의 협약은 이 사업에 있어 단 하루도 늦춰서는 안 된다는 것, 인천교육청이 화도진 도서관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인천시 부지와 일부 동구가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시 교육청은 인권비 등 이유로 신축을 미루고 있다.
인천교육청 사업이 답보 상태로 가자 주민들도 곱지 않은 시건이다. 이는 시민을 대하는 예의가 아니기에 허 의원은 “9월 내 반드시 성과를 내라”고 주문했다. 동구민들 또한 이 사업은 조속히 진행되도록 요구하고 있는 것이 지역 여론으로 적극적인 자세가 요구된다.
허 의원은 시민들로부터 인천시가 최고의 정책으로 큰 호응을 얻고 있는 ‘아이 바다패스’ 또한 시정 질의에서 언급했다. 최고의 정책이기 전 교통 혼잡 문제를 지적했다. 그는 시민들이 열광했지만 “배표 대란을 불러왔다. 여전히 연안여객터미널까지 교통은 여전히 불편하다”며 “도시철도 3호선 연장안은 10년 뒤 이야기일 뿐”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허 의원은 “지금 당장 동인천역에서 연안부두까지 버스전용차선과 BRT를 설치하라. 말뿐인 계획이 아니라 실행으로 증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6·8공구 개발과 사례도 PPT를 통해 거론했는데 인천경제자유구역 사업의 수익의 구조에 대한 지적은 매서웠다.
허 의원은 “인천시가 여러 가지 사업들을 진행하고 있다. 이익 환수는커녕 인가 이후 관리·감독은 부실했고, 결과적으로 시는 빈손”이라는 논조로 비판했다. 인천경제자유구역 사업이 원안대로 추진됐다면 문제가 없었을 것”이라는 후문도 뒤따른다.
한 건설 전문가는 “도시개발을 함에 있어 변경하려면 민간 위원회로 책임을 떠넘길 것이 아니라 주민공청회부터 개최해 투명한 행정을 진행해야 한다”며 “내부적으로 책임자가 기안해놓고 문제가 생기면 위원회 결정으로 돌리는 행정은 개선돼야 한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건설 전문가 A 씨(송도 거주, 62 남)는 사업 변경에 있어 주민공청회를 통해 여론을 수렴한 후 진행하면 수익에 시너지가 인다는 것이다. 이 한 가지만 시정을 해도 시민을 위해 쓸 수가 있는 제원이 마련된다고 덧붙이면서 주먹구식 행정이라고 비판의 날을 세웠다.
끝으로 허 의원은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는 자가 강한 자라는 교훈처럼, 인천은 지금 생존을 위한 치열한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며 “집행부는 안이한 행정에서 벗어나 오직 시민을 위한 결단으로 행정 개선에 응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관련, 시민들은 “공무원들이 스스로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어야 시민의 지지가 뒤따른다”며 “책임을 지는 공직사회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허 의원 이번 시정 질의는 인천시 현안은 늦장 대응으로 일을 키우는 일맥과 같아 공무원들 시정이 요구되고 있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인천시 허식 의원, 송도 103층 랜드마크 사업 R2 부지 개발 개선 촉구
“오직 시민을 위한 결단으로 행정 개선에 응답하라”“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는 자가 강한 자” 기사입력:2025-09-08 04:52:4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07.96 | ▲2.84 |
코스닥 | 817.09 | ▲5.69 |
코스피200 | 433.08 | ▲0.2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4,860,000 | ▼113,000 |
비트코인캐시 | 839,000 | ▼1,500 |
이더리움 | 6,002,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690 | ▼50 |
리플 | 4,028 | ▲3 |
퀀텀 | 3,711 | ▼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5,000,000 | 0 |
이더리움 | 6,006,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680 | ▼40 |
메탈 | 972 | ▼3 |
리스크 | 507 | ▼2 |
리플 | 4,025 | ▼3 |
에이다 | 1,171 | 0 |
스팀 | 184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4,880,000 | ▼30,000 |
비트코인캐시 | 839,500 | ▼3,000 |
이더리움 | 6,000,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650 | ▼140 |
리플 | 4,025 | 0 |
퀀텀 | 3,724 | ▼1 |
이오타 | 25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