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이대비뇨기병원(병원장 이동현)은 본원 비뇨의학과 고영휘 교수가 지난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제77차 대한비뇨의학회 정기학술대회(KUA 2025)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로써 고 교수는 2022년과 2023년에 이어 2025년에도 같은 상을 수상하며, 우수논문상 3회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번 수상 논문은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전국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기반으로 구성한 16만 6,848명 규모의 코호트를 분석한 역학·보건경제 연구다.
매년 공개모집을 통해 제출된 논문 중 엄정한 심사를 거쳐 선정되는 우수논문상은 학회 최고 권위상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우수논문상은 ▲학술적 엄격성 ▲임상적 중요성 ▲사회적 파급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수여되며, 동일 연구자의 반복 수상은 매우 드물다.
연구진은 진단 이전의 PSA(전립선 특이항원) 검사 이력을 기준으로 ‘PSA-tested군(진단 전 최소 2년 동안 PSA 검사 3회 이상 시행)’과 ‘non-tested군(진단 직전 3개월 이내에 첫 PSA 검사 시행)’으로 환자군을 구분해, 두 군 간의 치료 경로와 의료비 지출 차이를 비교했다.
분석 결과, 반복적으로 PSA 검사를 받은 군에서는 국소치료(수술·방사선)의 비중이 유의하게 높았고, PSA 검사를 충분히 받지 않은 군에서는 호르몬요법·항암·안드로겐 수용체 표적제 등 전신치료 의존도가 높아 치료 기간과 관련 비용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조기 진단이 국소치료 선택을 촉진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한편, 검진 기회를 갖지 못한 환자군이 진행성 질환으로 이행할 경우 전신치료에 대한 장기적 의존성이 커져 보건재정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대규모 실제 자료(real-world data)를 기반으로 임상적·경제적 결과를 동시에 검토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임상현장의 진료 패턴과 보건자원 배분에 대한 실질적 근거를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고영휘 교수는 “이번 수상을 계기로 후속 연구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연령별·위험도별 맞춤형 선별전략의 비용효과 평가, 진단 시기와 장기 임상결과의 연계 분석, 환자 수준의 임상자료를 포함한 다각적 보완 연구를 추진해 정책 제안으로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고 교수는 전립선암 역학과 검사·치료 패턴 연구에서 오랜 연구 경력을 쌓아온 학자로, 단일공 로봇수술 등 최신 수술기법의 임상 적용과 표준화에 기여해 왔다. 특히 전립선암의 국가적 검진정책 근거 마련을 목표로 하는 ‘전립선암 국가암검진화 TFT’ 위원장을 맡아 정책 설계와 위험기반 선별체계 마련을 위한 실무적 논의를 주도하고 있다.
이번 수상 성과는 ‘전립선암 국가암검진화 TFT’ 활동에서 보건당국을 설득해 더 많은 국민이 검진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한 논거로 활용될 전망이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고영휘 이대비뇨기병원 교수, 대한비뇨의학회 우수논문상 3회 수상
기사입력:2025-10-29 17:24:3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086.89 | ▲5.74 |
| 코스닥 | 890.86 | ▼10.73 |
| 코스피200 | 575.21 | ▲3.70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3,370,000 | ▲371,000 |
| 비트코인캐시 | 814,000 | ▲5,000 |
| 이더리움 | 5,736,000 | ▲4,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190 | ▼40 |
| 리플 | 3,735 | ▼1 |
| 퀀텀 | 2,800 | ▼32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3,343,000 | ▲343,000 |
| 이더리움 | 5,736,000 | ▲2,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200 | ▼40 |
| 메탈 | 684 | ▼3 |
| 리스크 | 307 | ▲2 |
| 리플 | 3,735 | ▼4 |
| 에이다 | 924 | ▼3 |
| 스팀 | 126 | ▼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3,300,000 | ▲490,000 |
| 비트코인캐시 | 812,500 | ▲4,500 |
| 이더리움 | 5,735,000 | ▲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140 | ▼50 |
| 리플 | 3,734 | ▲2 |
| 퀀텀 | 2,800 | 0 |
| 이오타 | 204 | ▼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