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화가 미국 AI자율운항 솔루션 기업과 손잡고 미국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낸다.
한화는 미국 해벅AI(HavocAI)와 해양무인체계의 자율운항 및 원격 운용 기술에 대한 전략적 협력을 앞두고, 양사 기술력을 확인하는 자리를 가졌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28일 폴 르윈(Paul Lwin) 해벅AI CEO 및 연구진들은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에 방문해 한화의 함정건조 및 해양시스템 역량을 확인했다. 이어 하와이 앞 바다에 대기 중인 해벅AI의 무인수상정(USV)을 한국 거제에서 원격 통제하는 기술 시연을 성공적으로 선보였다.
한화는 이번 해벅AI와의 만남이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해양무인체계 시장으로의 선제적 진입과 실효적인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초석으로 보고 있다.
한화그룹의 해양방산 사업을 맡고 있는 한화시스템과 한화오션은 지난해 필리조선소 인수를 통해 미국 진출의 포문을 연 바 있다.
앞으로 실질적인 협력을 통해 한화오션의 함정 건조 역량, 한화시스템의 함정전투체계(CMS) · 통합기관제어체계(ECS) · 함정 추진체계 상태기반진단체계(CBMS) 등 독보적인 시스템 통합 역량과 해벅AI의 수준급 자율운항 소프트웨어를 결합해 실제 제품 및 솔루션까지 도출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함정전투체계(CMS, Combat Management System)란 함정의 ‘두뇌’로 센서를 통해 다가오는 위협체를 탐지·식별하고 이를 무장체계와 연동해 교전 명령을 내리는 함정의 핵심 시스템이다. 한화시스템은 지난 40년간 대한민국 해군 함정에 전투체계를 공급해온 국내 유일 기업으로, 순수 국내 기술 기반의 독자적 체계를 개발·양산해 왔다.
통합기관제어체계(ECS, Engineering Control System): 함정의 추진·전력·보조기기·손상계통 시스템을 하나의 네트워크 기반으로 상호 통합 연결해 운용·감시·제어를 가능케 함으로써 함정의 효율적인 운용과 기동·생존·전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 장비
함정 추진체계 상태기반진단체계(CBMS, Condition Based Maintenance System)란 50여 개 장비로 구성된 함정 추진체계의 운용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진단하고 필요 시 승조원에게 정비를 권고하는 시스템으로, 첨단 머신러닝 기술이 적용돼 단순 모니터링뿐 아니라 성능평가를 통한 경향분석, 고장진단 및 잔여수명예측까지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방산 및 민수 영역 모두 적용 가능한 확장성 있는 자율운항 솔루션을 제공하고, 유지비 절감 등 운용 효율성까지 향상시킬 계획이다.
폴 르윈(Paul Lwin) 해벅AI의 CEO는 “한화그룹의 해양시스템 전문성 및 함정건조 역량과 해벅AI의 자율운항 역량을 결합함으로써, 기존 선박의 활용 가치를 확대하는 동시에 신규 무인체계가 신속히 배치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유문기 한화시스템 해양사업부장은 “한화시스템은 함정전투체계, 해양 플랫폼 통합 역량, 그룹 내 계열사 시너지 등을 바탕으로 해벅AI와 함께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해양무인체계 시장 진입 가시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한화-美 해벅AI, 글로벌 해양무인체계 협력 모색
기사입력:2025-10-29 17:08:0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170.05 | ▼51.82 | 
| 코스닥 | 931.42 | ▲16.87 | 
| 코스피200 | 590.33 | ▼8.70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0,746,000 | ▲1,218,000 | 
| 비트코인캐시 | 765,000 | ▲4,000 | 
| 이더리움 | 5,470,000 | ▲44,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2,580 | ▼90 | 
| 리플 | 3,519 | ▲14 | 
| 퀀텀 | 2,614 | ▲2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0,999,000 | ▲1,398,000 | 
| 이더리움 | 5,475,000 | ▲42,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2,610 | ▼90 | 
| 메탈 | 613 | ▲2 | 
| 리스크 | 285 | ▲2 | 
| 리플 | 3,521 | ▲13 | 
| 에이다 | 839 | ▲6 | 
| 스팀 | 116 | ▲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0,880,000 | ▲1,290,000 | 
| 비트코인캐시 | 766,500 | ▲4,000 | 
| 이더리움 | 5,470,000 | ▲40,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2,620 | ▼100 | 
| 리플 | 3,523 | ▲18 | 
| 퀀텀 | 2,610 | ▲30 | 
| 이오타 | 194 | ▲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