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왕진 “尹정권 임명 최연혜 사장…1조규모 LNG기지 강행논란”

기사입력:2025-10-21 01:41:43
가스공사 최연혜 사장 (사진=연합뉴스)

가스공사 최연혜 사장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이상욱 기자] 가스공사가 평균 이용률 30%대도 못 미치는 LNG 인프라를 확충키 위해 1조원 규모 ‘당진 LNG 터미널 2단계’ 공사를 강행하면서 과잉투자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윤석열 정부 초반에 의결된 사업을 에너지 비전문가로 알려진 최연혜 가스공사 사장 등 경영진이 임기 만료 직전까지 밀어붙이는 것은 아니냐는 비판이 터져 나왔다.

국회 산자중기위 조국혁신당 서왕진 국회의원이 가스공사를 통해 확보한 자료엔, 가스공사가 운영하는 총 5개의 LNG 터미널 (기화·송출) 시설 이용률은 겨울철 성수기에도 최대 42% 수준, 연평균 27%에 머무르고 있어 시설 활용이 절반 미만인 것으로 드러났다.

아는 이는 알다시피 세계가스연맹 올해 보고서에도 우리나라 전체 LNG 터미널의 (기화·송출) 시설 이용률은 약 33%를 넘지 못한 상태다.

그런데 가스공사는 충남 당진에 6번째 LNG 터미널(2단계) 신설을 추진 중이다. 당진 LNG 터미널 2단계 사업의 총 투자비는 약 1조원 규모다.

이는 2022년 7월 이사회 의결 이후 올 5월 건설공사 긴급입찰공고를 통해 8월 사업을 낙찰 받은 두산에너빌리티와 건설계약을 맺었다. 알다시피 최연혜 사장의 임기 (12월 8일) 만료를 불과 수개월 앞둔 시기다.

서왕진 의원은 “평균 이용률이 30%도 되지 않는 LNG 인프라 설비를 추가로 짓는 것은 명백한 과잉투자로 결국 좌초 자산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尹정권 초반에 결정된 사업을 실적 쌓기 용으로 몰아붙이고 있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게다가 2050 탄소중립 목표를 고려할 때 무분별한 LNG 인프라 확장은 국가 재정과 에너지 전환 정책에 역행한다는 지적도 끊이지 않고 있다.

정부의 제15차 장기천연가스수급계획에 따르면 국내 LNG 수요는 2021년 4573만톤을 정점으로 이후 꾸준히 감소해 2036년엔 3770만톤 정도로 줄어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발전용 LNG 수요도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기준 2030년 161TWh에서 2038년 74TWh로 절반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런데도 LNG 수요전망과 가스공사의 투자방향이 거꾸로 가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가스공사는 기존 장기천연가스 수급계획에 반영된 사항으로 민간 임차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라는 의견이다.

근데 서왕진 의원실이 확보한 자료엔, 가스공사의 민간 임차용량은 현재 전체 보유설비의 3% 수준에 불과해 계획대로 임차물량이 확대되더라도 12%를 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미 과잉설비 상태에서 신규 터미널을 추가로 짓는 근거로 보기 어렵다는 것으로 읽힌다.

서왕진 의원은 “가스공사 부채 약 40조원, 미수금이 14조원에 다다른다”며 “이런 상황에서 1조원 규모의 신규 화석연료 인프라 투자를 강행하는 것은 윤석열 내란정권이 임명한 에너지 비전문가 최연혜 사장의 치적 쌓기용 일뿐, 미래세대에 고스란히 부담을 떠넘기는 결정”이라고 맹공을 퍼부었다.

이어 서 의원은 “당진 LNG 2단계 사업은 지역사회와 시민단체로부터 이미 경제성·환경성 논란이 제기돼 법원 가처분 신청 등이 진행 중”이라며 “새 정부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방향을 고려해 사업 진행의 재검토가 필요하며, 당진 2단계 LNG 건설 사업은 전면 중단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한편 20일 진행된 가스공사 국감에서 서 의원의 질의에 최연혜 사장은 "공사를 강행하지 않고 16차 장기천연가스 수급계획 결과 등을 확인하여 좌초 자산에 대한 우려를 점검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823.84 ▲9.15
코스닥 872.50 ▼3.27
코스피200 535.28 0.0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300,000 ▼746,000
비트코인캐시 700,500 ▼7,000
이더리움 5,823,000 ▼54,000
이더리움클래식 23,440 ▼190
리플 3,625 ▼37
퀀텀 2,910 ▼1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265,000 ▼1,025,000
이더리움 5,821,000 ▼62,000
이더리움클래식 23,460 ▼190
메탈 749 ▼8
리스크 325 ▼3
리플 3,624 ▼40
에이다 964 ▼6
스팀 13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210,000 ▼950,000
비트코인캐시 700,500 ▼6,500
이더리움 5,820,000 ▼55,000
이더리움클래식 23,430 ▼240
리플 3,625 ▼37
퀀텀 2,914 0
이오타 215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