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늘어나는 추세지만 , 생존율이 낮고 생존 시에도 뇌기능 회복률이 한 자리에 불과한 실정이다 . 더욱이 지방의 경우 더 생존율이 낮아 지역 간 격차가 발생하고 있어 그 원인 분석과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
박희승(남원장수임실순창 , 더불어민주당 , 보건복지위 )의원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 급성심장정지 환자수는 지난 2015 년 30,771 건에서 2023 년 33,586 건으로 9.1% 증가했다고 3일 밝혔다.
2015 년부터 2024 년 상반기까지 최근 10 년간 총 30 만 1,459 건이 발생했으며 , 이 중 남성이 19 만 3,437 건 (64.2%) 으로 여성 10 만 7,946 건 (35.8%) 에 비해 1.8 배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60 세 이상이 20 만 8,716 건으로 전체 건수의 69.2% 를 차지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2015 년 6.3% 에서 2024 년 상반기 기준 9.2% 로 다소 높아졌으나 , 여전히 10 건 중 9 건은 사망에 이를 정도로 치명적이다 . 지난해 80 세 이상의 생존율은 3.5% 에 불과했다.
특히 각 지역별 생존율 격차가 컸으며 , 주로 지방이 더 낮았다 . 전남이 5.4% 로 가장 생존율이 낮았고 , 이어 경북 (5.9%), 충남 (6.3%), 강원 (7.2%), 경남 (7.6%) 순이었다 . 생존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 (12.4%) 이었다.
이같은 환자 생존율의 지역 간 격차는 비수도권이 수도권에 비해 고령인구 비율이 높고 ,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차이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 급성심장정지의 경우 골든타임이 중요하지만 특별시 , 구의 경우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48.2% 에 달하는 반면 , 광역시 및 도 , 군은 19.9% 에 불과했다. 실제 심폐소생술 시행시 생존율은 14.3% 로 미시행시 6.4% 보다 2.2 배 높았다.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뇌기능 회복률도 매우 낮아 6.4% 에 불과하다. 이에 환자의 뇌 손상을 막고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급성심장정지 환자에 대한 저체온치료 (TTM) 급여화를 시행했지만 , 인식 부족 등으로 시행률은 3.9% 에 불과했다.
박희승 의원은 “급성심정정지 환자의 생존율 개선을 위해선 생존사슬의 각 고리, 고리가 효과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 고령층이 많고 병원 접근성이 낮은 지방을 중심으로 교육과 홍보를 집중적으로 강화해 심폐소생술 시행률을 높이고 , 저체온 치료 등에 대한 연구도 보다 적극적으로 동반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생사 가르는 ‘ 급성심장정지 ’ 10 건 중 1 건만 생존 .. 지방 생존률 낮아
지방은 생존율 더 낮아 , 전남 5.4% vs 서울 12.4% 기사입력:2025-10-03 10:59:1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3,941.59 | ▲96.03 |
| 코스닥 | 883.08 | ▲11.05 |
| 코스피200 | 550.01 | ▲13.64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8,598,000 | ▲395,000 |
| 비트코인캐시 | 821,000 | ▲8,500 |
| 이더리움 | 6,025,000 | ▼8,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430 | ▲60 |
| 리플 | 3,899 | ▼12 |
| 퀀텀 | 3,016 | ▲5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8,595,000 | ▲372,000 |
| 이더리움 | 6,027,000 | ▼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440 | ▲50 |
| 메탈 | 760 | ▼7 |
| 리스크 | 329 | 0 |
| 리플 | 3,900 | ▼14 |
| 에이다 | 1,003 | ▼1 |
| 스팀 | 137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8,700,000 | ▲450,000 |
| 비트코인캐시 | 821,000 | ▲10,000 |
| 이더리움 | 6,025,000 | ▼10,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420 | ▲90 |
| 리플 | 3,900 | ▼16 |
| 퀀텀 | 3,015 | 0 |
| 이오타 | 222 | 0 |











